PBA, 단순 임가공 형태에서 존재감 확대 변화
애플이 내년 상반기 출시할 OLED 아이패드는 디스플레이용 PCB(인쇄회로기판) 산업 관점에서 약간의 변화가 감지된다. 삼성디스플레이가 기존 스마트폰용 OLED와는 다른 공급망 흐름을 취함으로써 PCB 회사보다 PBA(PCB 위에 부품을 올린 반제품) 회사들이 더 주목받을 전망이다.
코리아써키트→PBA→삼성디스플레이 순차 흐름
삼성디스플레이가 기존 아이폰 OLED에 부착하던 FPCB(연성인쇄회로기판)는 비에이치 같은 협력사가 주축이 돼 공급망이 꾸려졌다. 비에이치가 생산한 FPCB에 디케이티가 부품들을 실장해 비에이치에 납품하면, 이를 최종적으로 비에이치가 삼성디스플레이에 공급했다.
내년 초 생산에 돌입할 아이패드 OLED용 PCB의 공급 흐름은 약간 다르다. 코리아써키트가 PCB를 만들어 제이엠티⋅한국컴퓨터에 공급하면, 두 회사가 부품들을 실장해 삼성디스플레이에 직접 납품하는 형태다.
전자가 FPCB→SMT(부품실장)→FPCB→패널회사(삼성디스플레이) 순으로 공급된다면, 후자는 PCB→PBA→패널회사 순으로 이어진다. 거래 흐름이 한 단계 축소됐다.
이는 PCB(혹은 FPCB) 위에 부품이 올라간 형태로 공급받는 삼성디스플레이 입장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공급망에 참여하는 협력사 매출의 향방에는 큰 변화를 불러올 수 있다.
앞서 비에이치가 주축이 되는 구조에서는 디케이티 같은 SMT 회사가 비에이치의 임가공 협력사 역할에 제한된다. 비에이치로부터 FPCB를 받아 반도체 부품들을 올린 후, 다시 비에이치로 전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이패드 OLED 공급구조에서는 제이엠티⋅한국컴퓨터가 코리아써키트의 고객사가 된다. 제이엠티⋅한국컴퓨터가 코리아써키트로부터 PCB를 매입해 SMT 작업을 한 후, PBA 형태로 삼성디스플레이에 직접 공급한다는 이유에서다. 단순 임가공 매출이 아닌 제품 매출이 PBA 회사에 인식될 수 있는 셈이다.
한 디스플레이 산업 전문가는 “손익 측면에서 추정하기는 어렵지만 이러한 거래 흐름으로 PBA 회사들 매출이 큰 폭으로 상승할 것은 분명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그동안 삼성디스플레이에 아이폰 OLED용 FPCB를 공급했던 비에이치 역시 아이패드 향 PCB 라인을 구축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비에이치는 그동안 FPCB를 전문으로 생산⋅공급해왔기에 PCB 공급을 위해서는 신규투자가 불가피하다. 비에이치는 이를 위한 투자를 포함해 최근 베트남 빈옌시에 600억원 규모의 시설 투자를 결정했다.
이 투자의 완료 시기가 내년 10월이어서, 당장 내년 상반기 아이패드 OLED용 PCB 물량은 코리아써키트⋅제이엠티⋅한국컴퓨터 3사간 협력으로 생산될 수 밖에 없을 전망이다. 비에이치를 통한 PCB 공급은 내년 하반기 말에나 가능하다.
애플의 첫 OLED 아이패드용 패널은 내년 2월 생산이 시작되며, 이를 위한 소재⋅부품 중 일부는 1월 말부터 생산에 돌입한다. 연간 1000만대를 기준으로 LG디스플레이의 공급량이 삼성디스플레이 공급량을 다소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