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JS, SK하이닉스 출신만 200여명 이상
미국 봉쇄 탓 장비 수급 막히고, 투자 여력 부족

최진석 전 하이닉스반도체 부사장이 설립한 중국 D램 업체 청두가오전(成都高真科技, 이하 CHJS)이 양산 가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공정 수율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데다 미국의 중국 반도체 봉쇄 탓에 장비 수급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핵심 인력도 이탈하면서 CXMT(창신메모리)와 함께 중국 D램 업계 다크호스로 굴기하려던 CHJS의 목표가 ‘일장춘몽’으로 끝날 위기다.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내부.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내부. /사진=삼성전자

 

CHJS, 급여마저 밀려…인력 이탈

 

14일 CHJS 사정에 밝은 한 관계자는 “CHJS가 올해 들어 일부 직원들에 대한 급여 지급이 늦어지면서 회사를 떠난 이들이 적지 않다”며 “추가 펀딩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현재의 생산설비 만으로는 자생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CHJS는 지난 2020년 최진석씨가 대표로 있는 진세미와 중국 청두시가 4대 6의 비율로 설립한 반도체 회사다. 당초 D램을 생산할지, 레거시 공정 파운드리를 제공할 지 전략이 애매했으나 최종적으로는 18nm(나노미터)급 D램 공정을 구축했다. 

최진석 CHJS 대표. /사진=KIPOST
최진석 CHJS 대표. /사진=KIPOST

현재 생산능력은 300㎜ 웨이퍼 투입 기준 월 5000장 규모로, 파일럿 수준에 불과하다. 또 다른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CHJS의 D램 디자인은 정확하게는 18.8nm 공정이 적용됐다”며 “다만 생산능력이 적고 수율도 낮아 운영비를 충당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동안 삼성전자⋅SK하이닉스가 CHJS의 D램 라인을 예의주시 한 건, 이 회사에 적지 않는 한국 출신 엔지니어가 포진해 있어서다. SK하이닉스 출신만해도 200여명 이상이 넘어가 있으며, 노광 공정은 삼성전자 출신들이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최진석씨의 진세미는 과거 중국⋅대만 내 군소 D램 업체들을 대상으로 수율 제고 컨설팅을 제공해왔으며, 그 중 일부 프로젝트는 성과가 적지 않았다. 이 때문에 CHJS가 중국 CXMT와 함께 중국 D램 산업의 다크호스로 등극할 것으로 본 것이다. 

다만 아직까지는 추가 펀딩이 이뤄지지 않는 한 CHJS가 스스로 투자 여력을 확보하기란 불가능해 보인다. D램 생산이 원활해야 운영 및 투자자금이 유입되는데, 현재는 양품으로 판매할 수 있는 다이가 거의 없는 수준이다. 최근 핵심인력들 이탈이 시작되면서 향후 연구개발 역량은 더 나빠질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제재 탓, 장비 확보도 불가

 

설사 중국 정부나 청두시에서 자금 수혈을 받는다고 해도 미국의 중국 반도체 봉쇄 탓에 장비 수급 경로도 막힌 상태다. 미국 BIS(산업안보국)는 지난해 10월 ▲16/14nm 이하 로직칩 ▲18nm 이하 D램 ▲128단 이상 낸드플래시를 생산하는 모든 장비의 중국 수출을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CHJS의 D램 디자인은 18.8nm 기반이지만, 이를 위해서는 ASML의 DUV(심자외선) 노광장비가 필요하다. DUV는 EUV(극자외선) 설비 보다는 해상도가 뒤처지지만, 다중패터닝 방식으로 7nm급 로직칩 생산에도 활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중국으로의 수출에 제한이 걸린 상태다. 

CHJS가 지난 2021년 발주한 반도체 장비들을 보면 상당부분이 미국⋅일본⋅네덜란드산이다(KIPOST 2021년 7월 1일자 <최진석 전 하이닉스 CTO가 이끄는 CHJS, 전공정 장비 발주> 참조). 미국은 물론 일본⋅네덜란드 역시 미국 BIS 제재에 동참하기로 함에 따라 이들 장비 수급길도 막혔을 것으로 예상된다. 장비가 이미 반입된 상태라 해도 최적화 튜닝 등 사후 서비스를 받을 길은 요원하다. 

CHJS가 2021년 초 발주한 장비 목록. /자료=KIPOST
CHJS가 2021년 초 발주한 장비 목록. /자료=KIPOST

한 반도체 산업 전문가는 “삼성전자 시안 공장이나 SK하이닉스 우시 공장조차 오는 10월 1년간의 유예기간이 지나면 장비를 수급하기가 불가능해 질 것으로 보이는데 중국 업체인 CHJS가 미국⋅일본⋅네덜란드 설비를 받을 길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KIPOST(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