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일한 첨단산업 계열사
적극적 IP 인수 나설 듯
삼성전자 파운드리와 협력 가능성도

실리콘웍스가 구본준 LG그룹 고문의 계열분리 대상에 포함되면서 LG그룹을 떠난다. 이번에 계열분리된 5개사 중 실리콘웍스가 유일하게 전통산업 범주에서 벗어난다는 점에서 향후 신설지주사의 주력 성장 계열사가 될 전망이다. 

LG그룹 내에서 LG반도체⋅LG디스플레이 대표이사를 모두 역임한 인물은 구본준 부회장이 유일하다. 장치산업 및 첨단산업 육성 경험도 가장 풍부하다.

LG 트윈타워. /사진=LG
LG 트윈타워. /사진=LG

 

구본준 고문, 실리콘웍스 포함 5개사로 계열분리

 

㈜LG는 26일 이사회를 열고 ㈜LG의 13개 자회사 출자 부문 가운데 LG상사, 실리콘웍스, LG하우시스, LG MMA 등 4개 자회사 출자 부문을 분할해 신규 지주회사인 '㈜LG신설지주(가칭)'를 설립하는 안을 결의했다. ㈜LG신설지주는 이들 4개 회사를 자회사로 하며 LG상사 산하 판토스 등을 손회사로 편입하는 방식으로 설립된다.

이사회 구성은 사내이사로 구본준 LG 고문(대표이사), 송치호 LG상사 고문(대표이사), 박장수 ㈜LG 재경팀 상무가 내정됐다. 사외이사는 김경석 전 유리자산운용 대표이사, 이지순 서울대 경제학과 명예교수, 정순원 전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강대형 연세대 경제대학원 겸임교수를 각각 내정했다. 또, 김경석⋅이지순⋅정순원 사외이사 내정자를 감사위원으로 선임할 예정이다.

구본준 LG 고문. /사진=LG
구본준 LG 고문. /사진=LG

신설지주는 앞으로 새로운 이사진에 의한 독립경영 체제로 운영한다.

이번에 계열분리 된 회사들 중 가장 눈에 띄는 곳은 실리콘웍스다. LG상사⋅하우시스⋅MMA⋅판토스 등이 모두 전통산업에 속하는 반면, 실리콘웍스만 유일한 첨단산업 군이다. 

실리콘웍스는 반도체 설계를 전문으로 하는 ‘팹리스’ 업체다. 주로 디스플레이용 칩을 설계해 외부 파운드리에서 위탁생산한 뒤 LG디스플레이⋅LG전자에 납품한다.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전력관리칩(PMIC)도 공급한다. 

지난 3분기 매출은 3672억원을 기록했다. LG디스플레이가 애플에 공급하는 아이폰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에 실리콘웍스의 디스플레이 구동칩이 찹재되면서 매출이 크게 늘었다. 향후 애플 아이폰용 OLED 패널 중 LG디스플레이 공급 비중은 늘어날 여지가 크다는 점에서 한동안 수혜를 받을 전망이다. 

 

적극적 IP 인수 나설 듯

 

실리콘웍스가 신설지주의 주력 성장 계열사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건, 시스템반도체 산업의 성장 잠재력이 크기 때문이다. 스마트폰에 이어 자동차 전장화, 5세대(5G) 이동통신, 인공지능(AI) 등 모든 신성장 산업은 시스템반도체 기술이 뒷받침됐기에 가능했다.

국내는 산업기반이 허약하지만, 세계적으로는 설계자산(IP)-팹리스-디자인하우스-파운드리를 축으로 하는 분업화 생태계가 활성화 돼 있다.

물론 지금처럼 디스플레이용 구동칩에 편중된 실리콘웍스의 사업 구조로는 글로벌 팹리스로 성장하는 데 한계가 뚜렷하다. 디스플레이 업황에 따른 부침을 같이 겪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LG그룹 계열사들 일감을 받는 것도 앞으로 장담하기는 어렵거니와, 친정에 의존적인 방향은 미래 성장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반도체 생태계. /자료=삼성전자
반도체 생태계. /자료=삼성전자

따라서 향후 팹리스 사업을 육성하는 과정에서 IP나 다른 팹리스 인수에 적극 나설 가능성이 높다. IP는 시스템반도체를 설계할 때 반복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기능블록이다. 시스템반도체가 빌딩이라면, IP는 빌딩을 짓는데 필요한 철근⋅콘크리트 등 자재에 속한다. IP 경쟁력이 팹리스 경쟁력의 척도로 여겨지는 이유다. 이번에 엔비디아가 인수하기로 한 영국 Arm이 대표적인 IP 업체다.

물론 IP 인수에는 적지 않은 비용이 소요된다. 지난 3분기 말 기준 실리콘웍스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1046억원으로, 자체 실탄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신설지주가 실리콘웍스를 중심으로 성장축을 가져간다면, 다른 계열사 자산 매각을 통해 실탄 마련을 추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파운드리와 협력 가능성도

 

최근 생산능력을 늘려가고 있는 삼성전자 파운드리와의 협력 가능성도 점쳐진다. 

현재 실리콘웍스는 중국⋅대만 파운드리를 통해 자사 칩을 위탁생산하고 있는데, 이를 삼성전자 파운드리로 이전하는 방안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반도체 업체 임원은 “실리콘웍스는 가급적 위탁생산을 국내로 돌리고 싶어한다”며 “손보익 실리콘웍스 사장이 지난해 삼성전자 파운드리 포럼에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파운드리 생산라인 전경./삼성전자
삼성전자 파운드리 생산라인 전경./사진=삼성전자

그동안 첨단산업에서 삼성⋅LG 계열사 간의 경쟁관계를 감안하면, 계열분리 후에는 삼성전자와의 협력도 한결 편해진다. 실리콘웍스의 주력제품인 디스플레이용 구동칩이나 PMIC는 수 나노미터(nm)급의 파운드리 선단공정도 필요하지 않다. 한 팹리스 업체 관계자는 “실리콘웍스가 삼성전자로 위탁물량을 옮기지 못한다면, 유일한 장애물은 기존 고객사인 LG디스플레이⋅LG전자의 눈치를 봐서일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KIPOST(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