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2년 이후 네 번째 충돌
2017년 분쟁때는 불매운동 영향 미미
이번에는 인도 정부가 나서 중국산 앱 접속 차단

중국-인도 국경 유혈사태에서 촉발된 분쟁이 두 나라간 무역 분쟁으로 번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인도가 중국으로부터 한 해 70조원어치 넘는 상품을 수입한다는 점에서 두 나라간 무역 분쟁은 다른 수출국들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다.

특히 인도에서 중국 스마트폰 브랜드들의 시장점유율은 지난 1분기 기준 73%에 이른다.

샤오미 스마트폰 '미9'. /사진=샤오미
샤오미 스마트폰 '미9'. /사진=샤오미

국경 분쟁이 스마트폰 불매 운동으로

 

29일(현지시간) 인도 정부는 틱톡⋅위챗⋅웨이보 등 중국의 대표적인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 59개에 대해 접속 차단했다. 이날 인도 전자정보기술부는 성명을 통해 "중국 앱이 인도의 주권·안보·공공질서를 침해했다"고 밝혔다. 기술부는 "중국 앱이 승인받지 않은 방식으로 사용자 정보를 인도 밖 서버로 무단 전송했다는 불만이 다수 접수됐다"고 설명했다. 

틱톡은 15초에서 1분 이내 짧은 동영상을 공유할 수 있는 소셜미디어다. 10~20대 젊은층을 중심으로 사용자가 급격하게 늘고 있는 중국의 대표 앱이다. 전 세계 이용자는 9억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위챗은 카카오톡 같은 모바일 메신저다. 역시 중국의 대표적인 스마트폰 앱이며, 이용자수는 10억8000만명에 이른다. 

인도 정부는 중국 앱 차단 조치가 보안 문제 때문이라고 지적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지난 15일 발생한 두 나라간 국경 분쟁이 원인이다. 히말라야 산맥 국경에서 양국 군이 충돌하며 최소 20명 이상의 인도군이 사망했다. 

두 나라는 앞서 1962년⋅1967년⋅2017년에도 국경 지역에서 분쟁을 겪은 바 있다. 중국-인도는 3440㎞ 국경을 마주하고 있는데, 길고 불명확한 국경선 때문에 오랜 기간 마찰을 빚어 왔다. 그 시초는 지난 1914년 인도를 식민지배하던 영국이 히말라야 산맥에 ‘맥마흔 라인'이라는 국경선을 일방적으로 설정한 게 원인이다. 

중국과 인도의 국경분쟁은 영국이 식민지시대 일방적으로 그어버린 '맥마흔 라인'이 원인이다. /자료=두산백과
중국과 인도의 국경분쟁은 영국이 식민지시대 일방적으로 그어버린 '맥마흔 라인'이 원인이다. /자료=두산백과

중국은 이 국경선을 인정하지 않고 있는 반면, 인도는 영국 식민지 이전 국경선 대비 유리한 맥마흔 라인을 현 국경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1962년 양측이 국경에서 군사적 충돌을 겪은 이후 국경선을 확정하지 않은 채 방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사소한 마찰이 국지전으로 확전되기도 했다.

앞선 두 번(1962년⋅1967년)의 충돌과 현대에 들어선 두 번의 충돌이 다른 점이 있다면, 현대 들어서는 군사적 긴장이 무역 분쟁으로 자연스레 확전되고 있다는 것이다. 인도가 중국으로부터 사들이는 수입품 규모만 한 해 600억달러(약 72조1500억원)에 달하다 보니, 인도 국민들 사이에서는 불매운동을 통해 보복해야 한다는 정서가 팽배하다.

 

스마트폰⋅자동차가 1차 타깃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품목으로는 스마트폰과 자동차가 꼽힌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1분기 기준, 인도 시장에서 중국 브랜드들의 점유율은 73%에 이른다. 일찌감치 인도 시장을 공략해 온 샤오미의 경우 점유율 30%로 부동의 1위를 지키고 있다. 샤오미는 선진국 시장이 막힌 화웨이가 중국 내 ‘애국 마케팅'을 강화하자, 화웨이를 피해 인도 시장에서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중국-인도간 국경분쟁이 촉발한 불매운동이 길게 이어질 경우, 샤오미 뿐만 아니라 비보(17%, 이하 점유율)⋅리얼미(14%)⋅오포(12%) 등도 점유율 감소가 불가피하다.

인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자료=카운터포인트리서치
인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자료=카운터포인트리서치

현재 중국 브랜드를 제외 하고, 인도 시장에서 점유율이 가장 높은 스마트폰 브랜드는 삼성전자다. 삼성전자는 작년 1분기 23%에서 올해 1분기 16%로 점유율이 크게 줄었지만, 여전히 샤오미⋅비보에 이은 3위를 지키고 있다. 

인도에서는 프리미엄급에 속하는 ‘갤럭시S’ 시리즈보다 A⋅M시리즈 등 중저가 라인업이 잘 팔린다. 삼성전자는 오는 3분기 ‘갤럭시S20’의 보급형 모델을 출시하는 등 중저가 라인업을 강화할 예정이다. 애플의 경우, 600달러 이상의 울트라프리미엄급 시장에서 55%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지만, 인도 전체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점유율은 크지 않다.

앞서 양측이 충돌했던 2017년 6월에도 인도 내에서 중국 스마트폰에 대한 불매운동이 불붙었다. 그러나 8월 들어 양측이 국경에서 한 발씩 물러서면서 사태가 일단락됐다. 2017년 충돌 직전인 2분기 샤오미의 시장점유율은 16%였으나, 충돌 직후 3분기 점유율은 22%를 기록했다. 불매운동의 여파가 전혀 미치지 않은 셈이다.

그러나 이번에는 인도 정부가 나서 중국산 스마트폰 앱 접근을 차단하면서 중국 쪽에서도 보복 조치가 나올 것이라는 예상이다. 3년 전과 달리 양측의 무역 분쟁이 장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는 이유다. 

지난 2017년 충돌을 전후한 인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자료=카운터포인트리서치
지난 2017년 충돌을 전후한 인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자료=카운터포인트리서치

앞서 29일 닛케이아시안리뷰는 “인도 마하라슈트라주는 중국 창청 자동차의 인도 현지 공장 가동 승인을 보류했다"며 “인도 정부가 중국산 에어컨·자동차 부품·철강 등 370여개 품목에 고율 관세를 부과할 것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저작권자 © KIPOST(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