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대비 매출 16%, 영업이익은 11% 증가
4분기 매출 2조 4,923억 원, 영업이익 1,150억 원
삼성전기는 지난 4분기 연결기준 매출 2조 4,923억 원, 영업이익 1,150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2024년 연간 기준으로 매출 10조 2,941억 원, 영업이익 7,350억 원을 달성했다. 전년 대비 매출 16%, 영업이익은 11% 증가한 수치로 삼성전기는 창사 이래 매출 10조원을 처음 돌파했다.
2024년 4분기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매출 1,924억 원(8%), 영업이익은 7억 원(1%) 증가했다. 삼성전기는 전장·서버 등 고부가제품 수요가 증가해 전장용 MLCC 및 서버용 FCBGA 공급을 확대해 전년 동기보다 매출 및 영업이익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해 전장용 MLCC 매출은 고온·고압품 등 전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신규 거래선 추가 진입을 통해 전년 대비 두 자리수 매출 성장률을 달성했고, 패키지사업부의 연간 매출도 베트남 생산라인 본격 가동 및 서버·ARM CPU 기판 등 고부가 제품 공급을 확대해 전년보다 증가했다고 밝혔다.
올해는 AI 서버의 고성장세 등 AI 수요 강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이고 자동차의 전장화 확대 등으로 전장용 시장 성장 또한 지속될 것으로 전망돼 2025년 1분기 영업이익은 전 분기 및 전년 동기보다 두 자리수 이상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기는 AI서버용 MLCC/패키지기판, 전장용 MLCC/카메라모듈 등 고부가제품 관련 라인업을 강화하고 고객사 다변화 및 공급 확대를 지속할 계획이다.
사업부문별로는 컴포넌트 부문의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11% 증가한 1조 818억 원이다. 삼성전기는 전기차·하이브리드카 수요 증가와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기능 탑재 확대 영향으로 전장용 MLCC 공급이 증가해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다만 연말 고객사 재고조정을 포함한 계절적 요인으로 IT/산업용 제품 공급이 감소해 전 분기 보다 매출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올해도 AI 서버 시장의 확대가 지속되는 가운데 자율주행 관련 빅테크 및 완성차 기업이 전장화 기능을 일반 차량까지 확대하면서 AI서버·전장용 MLCC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삼성전기는 AI 서버용 고온·고용량 및 전기차 파워트레인용 고온·고압품 라인업 확대 등을 통해 수요에 적기 대응하고 전장용 MLCC 생산능력도 늘릴 계획이다.
패키지솔루션 부문의 4분기 매출은 5,493억 원이다. 전년 동기보다 24% 증가한 수치다. 삼성전기는 글로벌 거래선향 서버·네트워크용 FCBGA 등 공급 확대로 전년보다 실적이 개선됐지만, 연말 스마트폰 재고조정 등으로 전 분기보다 매출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삼성전기는 올해 IT 세트 수요 개선과 AI/서버향 패키지기판의 고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ARM 프로세서용 및 서버/네트워크용 등 고부가 패키지 기판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AI 가속기용 FCBGA를 본격 양산하고 거래선 다변화를 추진할 전략이다.
광학솔루션 부문의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2% 감소한 8,612억 원을 기록했다. 삼성전기는 전장용 주요 거래선의 신모델 출시 전 연말 재고 조정 등의 영향으로 매출이 소폭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스마트폰 차별화를 위해 카메라 고성능화 요구가 지속됨에 따라 삼성전기는 고화질 슬림, 줌 기능 강화 등 IT용 고사양 카메라모듈로 적기 대응하고 전천후 카메라모듈 및 인 캐빈(In-Cabin, 실내용) 카메라 등 전장용 고신뢰성 카메라모듈 제품의 공급을 확대해 사업을 지속 성장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