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벨, 중국 R&D팀 해체 직후 베트남에 거점
국내 디자인하우스들도 베트남 진출

RISC-V 기반으로 설계된 반도체. /사진=사이파이브
RISC-V 기반으로 설계된 반도체. /사진=사이파이브

베트남이 아시아 반도체 설계 거점 기지로 부상하고 있다고 디지타임스가 24일 보도했다. 베트남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지역은 값싼 노동력을 내세워 그동안 후공정(패키지)을 중심으로 반도체 산업이 발달했다. 그러나 최근 미중 간 첨단 기술 패권 경쟁이 벌어짐에 따라 중국⋅대만에 R&D(연구개발) 센터를 운영했던 기업들이 대체지로써 베트남을 낙점했다는 분석이다. 

미국 팹리스 마벨은 최근 중국 R&D팀을 해체하는 동시에 베트남에 IC 디자인센터를 마련했다. 마벨은 원래 호치민시 7군 떤투언수출가공단지(Tan Thuan)에 베트남법인을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번에 사업장을 확장해 설계 분야 R&D를 강화하기로 한 것이다. 반도체 EDA(설계자동화) 툴 업체 시놉시스는 지난해 베트남 투자를 확대하고, 칩 설계 인력 교육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AP(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를 생산하는 퀄컴도 지난 2020년 베트남에 R&D 센터를 열었으며, TI⋅NXP 역시 베트남 내 연구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우리나라 반도체 업계도 디자인하우스를 중심으로 베트남 설계 거점을 마련하고 있다. 세미파이브⋅에이디테크놀러지⋅코아시아세미 등이 부족한 국내 설계인력을 확충하는 대안으로 일찌감치 베트남을 낙점한 바 있다. 베트남 역시 최근 산업이 고도화하면서 인건비가 높아지긴 했으나, 여전히 국내보다는 낮다. 미국⋅유럽 대학에서 유학한 인력들이 자국으로 돌아와 취업하는 사례가 많다는 점에서 고급 인력도 풍부하다. 

한 반도체 산업 전문가는 “우리나라는 반도체 설계 전문인력 배출 수도 적지만, 이들 대부분은 삼성전자⋅SK하이닉스로 취업하기를 원한다”며 “베트남은 후공정 제조 중심으로 반도체 산업이 발달해 설계 인력들이 일자리를 찾기 어렵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KIPOST(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