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2022년에 오른 가격, 아직 그대로
과점체제인 부품들은 한번 오르면 안 내려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업체들이 부쩍 높아진 자재값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올들어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 설비투자가 크게 줄었음에도 글로벌 인플레이션 탓에 전반적으로 자재 가격이 고공행진 하고 있다. 

수주 경쟁이 치열한 장비는 완제품 가격에 자재비를 전가하는 것도 어려워서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 양쪽에서 큰 압박을 받을 전망이다. 

서보모터.  /사진=KEBA
서보모터. /사진=KEBA

 

전장부품, 쇼티지때 올린 가격 그대로

 

장비 업체들이 단가 상승을 크게 체감하는 품목은 배선과 모터 등 전장류다. 이들 전장품은 이미 지난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공급망 이슈가 불거지면서 가격이 크게 올랐다. 당시 초정밀 서보모터의 경우, 가격이 최소 2배 이상 상승했다. 장비 내 전력과 신호를 연결하는 고전압 커넥터와 배선용 부품 역시 2~3배 가까이 단가가 오른 것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최근 각종 칩과 센서 같은 부품 공급부족 사태가 해소됐음에도 자재 공급 가격은 거의 그대로라는 점이다. 한 반도체 장비업체 대표는 “6개월 이상 걸리던 납기는 많이 개선되었지만 2020년 이전 대비 2~3배 올라버린 자재비는 내려오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는 반도체⋅디스플레이용 장비 내에 쓰이는 전장류가 워낙 소수 업체 과점 체제라, 가격 상승은 빠르고 하락은 느리게 반영하는 탓이다. 초정밀 서보모터는 일본 미쓰비시⋅야스카와전기⋅파나소닉 3사가 시장을 주름잡고 있다. 특히 가장 정밀한 거동이 필요한 부분에는 미쓰비시가 독점력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한번 올라간 공급 단가가 잘 내려오지 않는다.

장비 업체들이 자재값 상승을 가장 크게 체감하는 부분이 모터와 배선류 등 전장 부품이다. /사진=교세라
장비 업체들이 자재값 상승을 가장 크게 체감하는 부분이 모터와 배선류 등 전장 부품이다. /사진=교세라

최근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인건비 상승까지 겹치면서 부품 공급가격 인상을 재차 부채질하고 있는 측면도 크다. 

한 반도체 장비업계 전문가는 “지난해 고환율 탓에 올라갔던 수입가격 만큼만 최근의 구매가격 하락에 반영됐다”며 “사실상 현지에서 공급하는 가격은 거의 제자리”라고 설명했다.

 

줄어든 발주에 실적 압박

 

문제는 최근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 설비 투자가 줄어들면서 가뜩이나 장비 업황이 좋지 않다는 점이다. 매출 하락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자재 가격까지 고공행진하면 수익성이 더 크게 나빠질 수 밖에 없다. 

특히 반도체 산업에서는 SK하이닉스 협력사들의 주름살이 깊다. SK하이닉스는 올해 상반기 장비 발주량을 당초 가이던스 대비 최대 70% 삭감했다. 그나마도 아직 하반기 발주 전망에 대한 자료는 협력사들과 공유하지도 못했다. 

SK하이닉스는 원래 매년 연말 전에 이듬해 1년치 발주 계획을 공유해왔으나 올해는 반년치만, 그것도 대폭 삭감한 수준으로 내놓은 것이다. 한 SK하이닉스 협력사 관계자는 “SK하이닉스측에서 오는 4월에 하반기 발주 규모에 대해 공유하기로 했다”며 “메모리반도체 시황을 감안하면 상반기보다 크게 나아질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SK온의 미국 조지아주 공장. /사진=SK온
SK온의 미국 조지아주 공장. /사진=SK온

삼성전자 협력사들은 SK하이닉스 대비해서는 비교적 나은 편이지만, 상반기 시황에 따라 하반기 투자 강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삼성전자는 31일 실적발표 후 열린 컨퍼런스콜을 통해 “올해 설비투자를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또 다른 장치 산업인 배터리 분야는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에 비해서는 꾸준하게 발주가 나오는 편이다. 그러나 미국 IRA(인플레이션방지법) 발효에 따라 국내 셀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 투자 거점이 중국에서 미국으로 옮겨가면서 변수가 생겼다. 중국 난징⋅시안 등 증설만 하면 되는 공장들에 비해 미국은 이제 한창 공장 공사가 진행 중이다. 

애리조나(LG에너지솔루션), 코코모(삼성SDI), 켄터키(SK온) 등은 장비가 반입되기까지 최소 2년은 걸린다.  이 때문에 올해와 내년에는 기대만큼의 장비 발주가 실현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한 배터리 장비업체 대표는 “국내 셀 업체들이 IRA 이후 중국 내 투자를 늦추는 반면 미국 투자에 더 속도를 내고 있다”며 “장비 투자 관점에서는 1~2년 정도 발주 공백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KIPOST(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