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정부는 일본에 반도체 연구거점 조성 위해 TSMC에 2000억원 지원키로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업체인 대만 TSMC가 120억달러를 투자하는 미국 애리조나주 반도체 공장이 최근 착공에 들어갔다. 차세대 3나노 칩도 예정대로 내년 하반기부터 양산에 들어가는 한편, 이보다 더 앞선 2나노 칩 시험라인도 당초 계획보다 앞당겨 연내 구축하기로 하는 등 파운드리 시장에서 독주 체제를 강화하고 있다. 일본 정부로부터는 수천억원 규모의 일본내 연구개발(R&D) 시설 투자 보조금을 얻어내 세계 선진 시장에서 아성을 굳혀가는 분위기다.
최근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TSMC 웨이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일(현지시간) 투자자와 고객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례 기술프레젠테이션(온라인)에서 미국 애리조나주 공장 건설은 계획대로 진행중이며 5나노 반도체를 오는 2024년부터 양산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정부는 미국내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해 540억달러 지출안을 내놨고 TSMC는 미국 인텔, 한국 삼성전자 등과 지원금을 놓고 경쟁하고 있다. TSMC는 향후 10~15년 동안 애리조나 부지에 최대 6개 공장을 세울 계획이라고 앞서 로이터가 보도한 바 있다.
지난 4월 TSMC는 향후 3년간 총 1000억달러의 설비 투자계획을 밝힌 바 있다. 웨이 CEO는 이를 재확인하고 이 가운데 올해만 300억달러가 책정됐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 고객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충분한 제조역량을 만들어 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자동차 업체들이 인공지능(AI)와 같은 첨단기술을 적용하는 데 사용할 5나노미터 반도체 공정을 개발했다고 덧붙였다.
웨이 CEO는 특히 차세대 3나노 반도체를 대만 타이난 ‘패브18’ 공장에서 내년 하반기부터 양산에 돌입하는 동시에 올해안에 2나노 칩 시험 라인도 완공할 것이라는 공격적인 계획을 밝혔다. 외신에 따르면 당초 예상보다 석달 가량 빨라진 것으로, 2나노 칩 상용화에 필요한 생산 기술을 서둘러 확보해 오는 2024년부터 양산에 들어간다는 구상이다. 2나노 제품은 대만 북부의 본사가 있는 신주 지역에 들어서며, 새 공장의 토지 취득 절차도 동시에 진행해 조만간 건설에 착수한다고 덧붙였다. 여기에 더해 4나노 반도체 생산 일정도 앞당겨 당장 다음달부터 시험 생산을 시작해 내년에 양산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파운드리 시장에서 맹주의 자리를 더욱 공고히하겠다는 초격차 전략 행보인 셈이다.
이와 함께 최근 자국내 반도체 산업 부활을 꾀하고 있는 일본 정부와 TSMC의 밀월관계도 관심을 끌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최근 일본 경제산업성은 “TSMC가 일본 이바라키현 쓰쿠바에 반도체 R&D 거점을 조성한다”면서 총 사업비 370억엔(약 3750억원) 중 190억엔(약 2000억원)을 보조금 형태로 TSMC에 지급키로 했다. 이를 통해 TSMC는 내년부터 본격적인 R&D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 R&D 거점에서는 히타치하이테크, 아사히카세이 등 일본 반도체 기업 20여 곳도 TSMC와 협업할 예정이다.
앞서 일본 정부는 올 들어 반도체·디지털 인프라 등에 관한 산업 정책을 입안하는 ‘반도체·디지털 산업전략 검토 회의’를 가동해왔다. 일본 반도체 산업의 약점으로 꼽히는 ‘첨단 반도체 개발 및 생산’ 관련 역량 강화가 정책 목표다.
특히 향후 일본과 TSMC의 협업은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일본 정부가 소니를 앞세워 TSMC의 파운드리 생산라인 유치에 공을 들이고 있어서다. 소니는 CMOS 이미지센서 세계 1위(2020년 기준 점유율 47.6%) 업체로, 생산량의 상당 부분을 TSMC에 위탁한다.
한편 세계 파운드리 시장에서 TSMC의 성적표를 보면 갈수록 아성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가 그대로 나타난다. 최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TSMC는 지난 1분기 129억200만달러(약 14조3018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41억800만달러(약 4조5537억원)에 그친 삼성전자를 멀찌감치 따돌렸다. TSMC의 매출은 직전 분기보다 2% 증가했고, 점유율도 54%에서 55%로 1% 포인트 늘었다.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전분기 대비 1%포인트 감소한 17%에 머물렀다. 삼성전자와 점유율 격차는 38%포인트까지 확대됐다. 지난 2월 미국 텍사스주의 기록적인 한파로 인해 삼성전자의 오스틴 반도체 공장 가동이 중단된 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