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산업혁명', '인더스트리4.0' 등으로 불리는 산업 패러다임 변화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 정책이 관건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인더스트리4.0의 주요 특징으로 꼽히는 분산화(Decentralization), 자동(자율)화(Autonomy), 기기간 소통(네트워킹) 시스템을 갖추려면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10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삼정호텔에서 열린 '34회 ICT융합포럼'에서 강연자로 나선 김은 한국ICT융합네트워크 부회장은 "인더스트리 4.0은 쉽게 확산되지 않을 것"이라며 "중소기업이 투자자금을 회수하는 시간이 대기업보다 짧긴 하지만 버티기 쉽지 않은 기간"이라고 말했다.

 

 

photo


 

▲인더스트리4.0 투자 비용과 효과.

중소기업은 투자금을 회수하는데 5년, 대기업은 약 7년이 걸린다. /BMWi 제공

독일 연방 경제기술부(BMWi) 발표에 따르면 중소기업은 인더스트리4.0 도입부터 자금 회수까지 기간을 5년, 대기업은 7년 가량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중소기업이 5년간 투자를 지속하면서 버틸만한 여력이 되는가다. 

 

김 부회장은 "실제로 독일 연방정부가 이 점을 고민하고 있다"며 "3년간 2800만유로(약 373억원)를 중소기업 인더스트리4.0 투자 지원금으로 출연했지만 적절한 지원 방법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특히 제조 분야에서 인더스트리4.0을 구현할 때 대기업은 협력업체들과 공동 규격, 공동 표준을 적용해 네트워킹하면서 생산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반면 중소기업은 고객사인 대기업이 요구하는 규격을 각각 맞춰야 하기 때문에 이중ㆍ삼중으로 부담이 될 수 있다.

 

 그는 "이 때문에 정부가 자금력이 약한 중소기업을 지원하거나, 규격을 정할 때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조율할 수 있도록 중재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photo
 

▲10일 서울 삼정호텔에서 열린 '34회 ICT융합포럼'에서 패널토의가 이뤄지고 있다. (왼쪽부터) 김은 한국ICT융합네트워크 부회장, 최동학 국가기술표준원 스마트공장표준 코디, 김태환 한국스마트제조산업협회장, 김인숙 한국개발연구원 초빙연구원.

포럼은 인더스트리4.0의 현황도 짚었다.

 

김은 부회장은 "지난달 25일부터 열린 '하노버 메세'에는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메르켈 독일 총리까지 등장해 주목 받았지만 실제로는 '속 빈 강정' 같은 느낌이었다"며 "아직까지 장님 코끼리 만지는 수준이 아닌가 싶다"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김태환 한국스마트제조산업협회장은 "사물인터넷(IoT), 사이버물리시스템(CPS) 등이 어우러지는 현장"이라며 평가를 달리했다.

 

김인숙 한국개발연구원 초빙연구원은 "지난해 '인더스트리4.0'에 대한 논의가 활발했는데 이제는 많지 않다"며 "이제는 개념 정립은 거의 됐고, 사업모델이 무엇일까를 논의하는 단계"라고 봤다. 그는 "독일과 미국은 합의하에 공동 보안 표준 등을 정립하고 있고, 글로벌 기업들은 속속 표준화 논의에 참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동학 국가기술표준원 스마트공장표준 코디는 "독일은 과거 산업혁명을 겪었고,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고 실행하는 것 같지만 한국은 해외에서 하니까 따라하기 급급한 느낌"이라며 우리만의 신 산업 패러다임 정책을 짜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은지 기자  onz@kinews.net 

저작권자 © KIPOST(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