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영상 SNS ‘소라’ 앱 출시로 AI 개발자에서 AI 서비스 업체로 변신도 시도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기업 가치가 창업 10년만에 5000억 달러(약 700조 원)에 이른다는 평가를 받았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우주 기업 스페이스X(4560억 달러)를 넘어선 것으로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비상장 기업으로 이름을 올렸다. 오픈AI는 아직 흑자를 내진 못하고 있지만, 한국은 물론이고 전 세계 AI 투자 열풍을 이끌고 있는 주역답게 이름값을 얻고 있다.

2일(현지 시간) 블룸버그통신과 CNBC 등에 따르면 최근 오픈AI는 직원들의 보유 지분을 매각하는 거래를 마무리하는 과정에서 투자사들로부터 기업 가치가 500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평가됐다. 이번에 전현직 직원들이 처분한 지분 규모는 약 66억 달러(약 9조3000억 원)다. 이 지분은 투자사 스라이브 캐피털과 일본 소프트뱅크그룹, 아부다비 기반 MGX, 티로 프라이스 등이 매입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올해 초 소프트뱅크가 주도한 투자 라운드 당시 오픈AI의 기업 가치는 3000억 달러(약 423조 원)였는데, 1년도 되지 않아 50% 이상 뛰었다고 전했다.

이 같은 기업 가치 급상승은 AI 산업의 성장 가능성과 오픈AI가 글로벌 빅테크들과 협업을 늘려 나가고 있다는 점 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최근 오픈AI는 엔비디아 등과 전 세계 데이터센터 구축에 수조 달러를 투입하는 등 파격적인 투자에 나서고 있다. 또 삼성, SK, 오라클, 소프트뱅크 등과 함께 5000억 달러(약 700조 원) 규모의 AI 인프라 구축 사업인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연구개발도 더욱 가속화해 지난 8월에는 최신 인공지능 모델인 ‘GPT-5’를 발표했다.

CNBC에 따르면 당초 오픈AI는 103억 달러(약 14조5000억 원)까지 직원들의 지분 매각을 허용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실제 지분을 팔겠다며 직원들이 내놓은 지분 규모는 66억 달러 수준으로 이에 한참 못 미쳤다. 오픈AI의 한 관계자는 “전현직 직원들이 회사의 장기 성장 가능성에 확신을 갖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블룸버그통신에 전했다.

2015년 설립된 오픈AI는 뛰어난 기술력과 폐쇄적 모델 운영 방식에 무게를 두는 전략을 통해 ‘AI 업계의 애플’로도 불렸다. 하지만 여전히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 또한 현실이다. 올해 상반기 오픈AI는 매출 43억달러(약 6조300억원), 영업손실 78억달러, 순손실 135억달러를 기록했다. 연구·개발(R&D)에만 67억달러를 썼다.

때 마침 오픈AI가 지난달 30일(현지 시각) AI로 영상을 만들어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는 소셜미디어(SNS) 앱 ‘소라’를 출시하면서 비즈니스 모델의 변신을 꾀한다는 해석이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다.

이 앱은 기존 SNS 플랫폼처럼 이용자가 관심을 가지는 주제를 AI가 스스로 학습해 자동으로 유사한 영상을 추천해주는 방식이다. 틱톡이나 인스타그램의 릴스, 유튜브의 쇼츠와 비슷한 구조다.

소라 출시를 두고 업계에서는 오픈AI가 AI 서비스 회사로 탈바꿈을 시도하면서 본격적인 수익 창출에 나섰다는 분석을 내놓는다. 또 사람이 직접 찍은 사진·영상이 AI가 만든 창작물로 텍스트·사진에서 영상 중심으로 소셜미디어 패러다임 변화가 본격화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최근 여러 SNS 플랫폼에서 숏폼 영상, 나아가 AI 영상을 공유하는 기능을 강화하는 가운데 오픈AI까지 이 시장에 뛰어들면서 기존에 시장을 장악한 유튜브·인스타그램·틱톡과 경쟁은 한층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결국 소라앱은 광고, 프리미엄 구독, 소셜 네트워크 기반 모델을 통해 수익성을 확보하려는 오픈AI의 첫 번째 도전인 셈이다. 이 앱은 미국·캐나다에 먼저 서비스를 시작해 점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오픈AI는 앞서 SNS 플랫폼 ‘페블’의 공동 창업자인 SNS 전문가 가보르 첼리를 영입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KIPOST(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오픈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