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당국, 생산장비 수출 지연·차단 움직임도 포착
애플이 이르면 내년부터 미국에서 판매할 모든 아이폰의 조립 공정을 인도로 이전할 계획이라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내년 말까지 미국에서 판매되는 연간 6천만 대 이상의 아이폰 전량을 인도에서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삼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같은 방안이 현실화하려면 애플은 인도에서의 아이폰 생산량을 현재의 두 배로 늘려야 한다.
무엇보다 이번 조치는 미국이 중국에 부과한 145% 관세에 대응하기 위한 애플의 자구책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산 상품에 대해 145%라는 상호관세를 부과했으나 이후 스마트폰에 대해서는 일시적으로 유예를 한 상태이다. 다만 이 기기들은 여전히 중국산 모든 수입품에 적용되는 별도의 20% 관세 대상이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아이폰 출하량 2억 3210만대 기준 약 80%가 중국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전체 출하량중 미국에 판매되는 비중은 28%인 약 6480만대이다.
FT는 이번 결정은 그간 추진해온 공급망 다변화 전략에 따른 것이지만 투자자들의 예상보다 더 과감하고 빠르게 진행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애플이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전쟁 때문에 중국에서 벗어나 방향을 전환하도록 압박을 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에도 26%의 상호관세를 부과했지만,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적용을 90일간 유예했다. 이와 별개로 인도는 미국과의 양자무역협정을 통해 관세 철폐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애플의 아이폰 생산거점 이전 시도가 현실화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는 시각이 적지 않다.
무엇보다 지난 20년간 애플은 중국에 막대한 투자를 하며 세계 최고 수준의 생산능력을 구축해왔기 때문이다. 여전히 중국 생산 의존도가 상당할 수 밖에 없는 이유다.
미국 시장분석기업 모펫네이던슨의 크레이그 모펫 분석가는 지난 25일 고객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공정을 이전한다 해도 공급망은 여전히 중국에 뿌리를 두고 있다”며 “조립 공정 이전은 중국의 저항에도 직면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중국 당국의 제지 움직임도 엿보이고 있다.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디인포메이션이 지난 24일(현지시간) 보도에서 소식통을 인용해 애플이 올해 초 오는 9월 출시할 새로운 아이폰17의 시험 생산에 필요한 장비를 인도로 보내려고 했지만, 중국 정부가 이를 허용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해당 장비를 애플의 중국 협력업체가 보유하고 있어 이를 인도 공장에서 사용하기 위해 이전하려고 했지만, 중국 정부가 이를 막았다는 것이다.
아이폰 생산에 관여한 또 다른 관계자들도 중국 당국이 별다른 설명 없이 아이폰 생산 장비의 인도 수출을 지연시키거나 차단하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한 관계자는 애플 최대 협력업체인 폭스콘이 중국 공장에서 인도 공장으로 아이폰 생산 장비를 수출하기 위해 필요한 중국 당국의 승인 기간이 기존에는 2주 정도였는데, 지금은 최대 4개월까지 길어졌다고 전했다.
또 일부의 경우 수출 신청을 해도 설명 없이 거부되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