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하반기부터 DX-M1 양산 체제에 본격 돌입, 수율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 검증 진행 중

 

AI 반도체 스타트업 딥엑스(대표 김녹원)는 자사의 AI 반도체 DX-M1을 사용한 ‘버터 벤치마크’ 실험을 통해 글로벌 경쟁 제품 대비 초격차 기술력을 입증했다고 21일 밝혔다. 

버터 벤치마크 실험은 반도체의 발열 성능을 직관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으로, 30~36℃에서 녹는 버터를 반도체 칩 위에 놓고 구동 중에 발생하는 열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반도체가 발열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할 경우, 성능 저하와 응용 시스템의 오작동을 초래할 수 있어 과도한 전력 소모를 일으키는 AI 반도체에서 저전력 설계는 필수적인 기술이다.

이번 실험에서 딥엑스의 DX-M1은 대표적인 객체 인식 AI 알고리즘인 Yolo5s 모델을 초당 30번 추론하는 작업 중에 버터가 녹지 않을 정도로 뛰어난 발열 제어 성능을 입증했다. 반면 동일한 조건에서 테스트 된 경쟁사 제품들은 버터가 빠르게 녹아내리며 발열 관리의 한계가 드러났다. Yolov7 같은 더 복잡한 알고리즘에서도 DX-M1은 동일한 조건에서 경쟁 제품을 20~40도의 저온 차이로 압도하는 성능을 보여주며 기술적 우위를 입증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특히 DX-M1은 주변 온도를 상승시켜 140도라는 극한의 온도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했으며, 이는 딥엑스의 기술이 가혹한 온도 조건에서도 경쟁 기술 대비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함을 보여준 것이라고 회사는 강조했다.

딥엑스는 올 하반기부터 DX-M1의 양산 체제에 본격 돌입했으며 수율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 검증을 진행하고 있다. MPW(멀티 프로젝트 웨이퍼)로 제작된 샘플을 통해 조기 양산 테스트와 신뢰성 테스트를 통해 수율을 극대화하고 있다. 또 OSAT 파트너사들과 협력해 다양한 응용 분야에 맞춘 칩 패키지를 다변화함으로써 제품의 단가를 최적화하고 품질은 극대화하고 있다. 

딥엑스는 DX-M1의 탁월한 성능과 저전력 기술을 바탕으로 물리보안 시스템, 로봇, 산업용 솔루션, 서버 등의 여러 응용 분야에서 글로벌 기업들과 양산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라즈베리 파이와 같은 싱글 보드 컴퓨터부터 데이터센터까지 폭넓게 적용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하며, 고객 맞춤형 M.2, E1.S 모듈 등 다양한 폼팩터와 인터페이스를 제안하고 있다. 또 대만, 중국, 미국, 유럽 등지에서 모듈 제조사들과 협업해 M.2 모듈 뿐만 아니라 E1.S 및 PCIE 카드 타입 등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을 개발하고 있다. 

 

저작권자 © KIPOST(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딥엑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