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넷(대표 김광수)은 국내암호모듈검증제도(KCMVP) 인증 모듈이 적용된 양자통신암호화장비(QENC)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로부터 보안기능확인서를 국내 최초로 발급받았다고 2일 밝혔다.
대상 장비는 전국 규모 전달망에 상용화된 테라급 POTN인 OPN-3100(2.4T급)과 OPN-1000(560G급)이다. 국제 공적표준의 MPLS-TP(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치)기술을 기반으로 All-IP서비스 수용할 수 있는 100G/10G 등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다양한 데이터를 패킷으로 묶어 전달하는 통신기술로 트래픽 증감 속에 물리적 구성 변경 없이 장비에서 능동적인 대응이 가능한 장비이다. 대상 제품명은 OPN-3100(O208CLU)와 OPN-1000(O208CLU)이다.
정부는 2020년부터 2025년까지 추진되고 있는 디지털 뉴딜사업 중 양자암호통신 인프라 구축을 통해 보안성이 중요한 분야에 대해 양자암호통신 시범망을 구축하고 있다. 우리넷은 보안당국과 협력해 보안성, 안전성 검증 및 응용 서비스를 발굴, 적용하면서 산업 활성화를 위한 사례를 확보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달 26일 열린 ‘2024년 제7회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서 4개의 혁신·도전형 R&D 사업과 2개의 우수 과학기술 인재 육성사업인 인공지능(AI), 양자 기술, mRNA 백신 개발 등을 포함한 6개의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에 대한 예타 면제를 확정했다고 밝힌 바 있다.
우리넷이 보유한 QENC와 연동되는 양자키분배장치(QKD)는 ▲양자역학원리인 양자 상태의 중첩성 ▲양자 상태의 복제 불가성 ▲측정에 의한 양자 상태 소멸성을 이용해 데이터 암호용으로 사용되는 비밀키(대칭난수)를 안전하게 분배, 통신채널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보안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첨단 통신장비다. 이론적으로 해킹이 불가능해 완벽하게 안전한 통신 방법으로 알려졌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발간한 '양자정보기술백서'에 따르면 양자암호통신 글로벌 시장 규모는 연평균 39.8% 증가해 2030년에는 24조5793억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