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미국 인공지능(AI) 검색·답변 유니콘인 퍼플렉시티와 손잡고 글로벌 AI 개인비서(PAA) 앱 시장에 진출한다. 연내 미국 시장에 베타 버전을 출시하고 추후 글로벌 시장에 확대한다는 목표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선보인 PAA 서비스 ‘에이닷(A.)’의 검색 기능을 강화하고 SK텔레콤 이용자에게는 고급 검색이 가능한 ‘퍼플렉시티 프로’ 1년 무료 이용권을 제공한다.
SK텔레콤은 지난 4일 서울 중구 SK T타워에서 퍼플렉시티와 공동 기자간담회를 갖고 ‘글로벌 AI 플랫폼 코퍼레이션(GAP CO.)’과 퍼플렉시티가 연내 PAA 서비스를 개발해 베타 버전 형태로 미국 시장에 출시키로 했다고 밝혔다. GAP CO.는 SK텔레콤의 미국 현지 자회사다.
퍼플렉시티는 대화형 검색엔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 구글 강력한 대항마로 꼽힌다. 지난 2022년 설립 후 2년만에 기업 가치 30억달러(약 4조278억원)를 돌파했다. 퍼플렉시티는 또 월스트리트저널(WSJ)에서 발표한 챗봇 사용성 평가에서 챗GPT, 코파일럿 등을 제치고 종합 1위를 차지했다. 현재 전 세계 50여개국에서 매달 2억3000만개 이상의 검색 요청을 처리하고 있다.
앞서 SK텔레콤은 이달 AI 비서 에이닷에 오픈AI ‘챗GPT’, 앤트로픽 ‘클로드’, 퍼플렉시티 ‘소나’ 등 여러 거대언어모델(LLM)을 기반으로 한 AI 검색 서비스를 도입했다. 작업 종류에 따라 LLM이 각기 다른 장점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아라빈드 스리니바스 퍼플렉시티 CEO는 “이번 협력을 통해 고객들은 AI로 사람처럼 대화하며 검색할 수 있는 혁신적인 검색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 발표에 앞서 지난 6월 SKT가 퍼플렉시티에 1000만달러(약 134억원)를 투자한 데 이어 퍼플렉시티는 SKT의 미국 법인 GAP CO.에 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같은 협력을 토대로 SKT는 에이닷(A.)과 유사한 PAA 서비스를 연내 미국에 출시할 계획이다. 여기에는 퍼플렉시티 검색 엔진이 탑재된다.
GAP Co.는 SKT의 에이닷(A.)과 같은 PAA 서비스를 글로벌용으로 개발·출시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SKT는 서비스 안착을 위해 미국 현지 통신사와의 협력도 논의중이다. 정석근 SKT 글로벌AI테크사업부장은 “하나의 서비스로 글로벌을 커버하기보다는 상황에 따라 각국 현지화·서비스 통합 등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멀티 거대언어모델(LLM) 전략을 구사 중인 SKT는 퍼플렉시티와의 협력으로 국내 에이닷 서비스 혜택도 강화한다. 한국어에 특화한 검색 엔진을 개발해 에이닷에 탑재하고, 유료화 시점은 앱 저변 확대 이후 검토할 계획이다.
또 SK텔레콤은 자사 고객에게 1년 동안 퍼플렉시티 프로를 무료로 제공한다. 월 구독료 20달러(약 2만6000원)인 프로 서비스는 검색 횟수 제한이 없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마켓에 따르면 대화형 AI 시장 규모는 올해 132억달러(약 17조5000만원)에서 2030년 499억달러(약 66조원)까지 연평균 24.9%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