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 반등 시그널은 아직"
지난해 끝없이 떨어졌던 배터리용 탄산리튬 가격이 선물 시장을 중심으로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중국 정부가 중국 탄산리튬 생산지에 새로운 환경규제를 도입한다는 루머가 퍼지면서 공급량이 조절될 것으로 예견됐기 때문이다.
23일 중국 광저우선물거래소에서 주요 탄산리튬 선물 가격은 전날 대비 2.97% 상승한 톤당 10만500위안(약 1860만원)을 기록했다. 전날은 0.77%, 그 전날은 4.42% 상승한데 이어 사흘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지난달 9만위안대 중반까지 떨어졌던 것을 감안하면 최근의 상승세가 리튬 시장 반등 신호로 여겨질 만 하다.
다만 며칠새 기록된 탄산리튬 선물가 상승은 수요측의 주문 증가 보다는 공급 이슈 때문에 촉발된 것일 가능성이 높다. 시장조사업체 상하이메탈마켓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리튬 매장량의 28%를 차지하는 이춘 지역에 대해 새로운 환경 규제를 도입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리튬 채굴 및 재처리 과정에서 오염물질이 다량 배출되는데, 중국 정부가 이를 문제 삼을 수 있다는 관측이다.
규제가 현실화 되면 오염물질 저감 설비를 갖춘 일부 시설만 가동할 수 있게 되고, 이는 리튬 생산량 제한 효과를 불러온다. 이 때문에 향후 리튬 가격 반등을 기대한 투기 수요가 선물 시장으로 유입됐을 거라는 분석이다.
실제 지난해 이춘 지역 일부 리튬 채굴 업체들이 리튬 슬러지(찌꺼기)를 제대로 처리하지 않고 폐기하면서 정부가 대대적인 조사에 나선 바 있다. 당시 몇몇 업체들이 한 차례 가동중단 조치를 명령받았다.
이와는 별개로 설 연휴 기간 리튬 채굴을 8일간 중단하면서 선물가가 반등했다는 시각도 있다. 2월 중국 전체 리튬 생산량이 전월 대비 17% 감소한 3만2005톤에 그쳤는데, 이는 설 연휴 조업 중단 때문이다. 선물거래 기관인 CICC는 “아직 탄산리튬 수요 증가와 관련한 명확한 시그널은 없다”며 “최근의 선물 가격 반등세가 장기화 될 가능성이 높지는 않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