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 Industry Post (kipost.net)] 지난 5월 BOE는 중국 최초의 6세대(1500mm X 1850mm)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라인 양산을 공식화했다. 지난해 연말 장비가 반입된 점을 감안하면 파격적으로 이른 시점이었다. 


BOE는 앞서 5.5세대(1300mm X 1500mm) 파일럿 라인도 증착 공정에서 애를 먹은 바 있어 업계서는 이번 B7 양산 소식에 의구심을 표했다.



주 100시간 가동...기판 투입 수백장 수준



▲BOE가 지난 5월 SID에서 공개한 플렉서블 OLED 샘플. /BOE 제공



7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 중국 BOE는 현재 B7 1라인을 주 100시간 정도 가동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통상 반도체⋅디스플레이 라인은 매일 24시간 가동하는데, 1주일이면 최대 168시간 가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이론상 수치다. 초기 양산 단계인 BOE는 가동 중간중간 챔버를 열고 튜닝 작업을 병행하고 있기 때문에 연속해서 라인을 가동할 수는 없는 상태다. B7 1라인은 원판투입 기준 월 1만5000장 기준으로 생산능력을 갖췄지만, 현재는 1주일에 수백장 정도를 투입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달간 투입되는 기판을 모두 더해도 수천장이 채 안 된다는 뜻이다.


6세대 파인메탈마스크(FMM) 증착 공정은 BOE가 처음 시도해 보는 만큼 어느 정도 난관이 예상됐다. 그러나 FMM 못지 않게 저온폴리실리콘(LTPS) 공정 역시 BOE가 가동률을 끌어올리는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LTPS는 OLED의 박막트랜지스터(TFT)를 만드는 공정이다. 최대 10번 안팎의 마스크 공정을 거쳐야 한다는 점에서 수율 저하 요인이 많다. BOE가 주력으로 생산해오던 비정질실리콘(a-Si) TFT는 4~5번 정도의 마스크 공정으로 생산할 수 있다. a-Si 증착막을 LTPS로 바꿔줄 때, 레이저어닐링(ELA) 공정에서의 균일도(Uniformity)를 높이는 것도 난제다. 


최근 중소형 OLED 투자에 속도를 내고 있는 LG디스플레이는 LTPS LCD 시장 점유율 30% 안팎을 유지하는 등 LTPS 경험이 풍부하다. 그러나 BOE는 지난해 들어서야 LTPS를 소량 만들기 시작했다. 더욱이 딱딱한 유리기판이 아닌 플라스틱 기판에서 LTPS TFT를 만드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ELA 공정 모식도. 기존 a-Si 증착막에 레이저 빔을 가해 LTPS 막으로 바꿔준다. /AP시스템 제공




한 BOE 협력사 관계자는 “5월 양산 공식화는 정부에 보여주기 위한 기념행사 개념”이라며 “BOE가 실제 의미 있는 수준의 양산 시점으로 잡은 기간은 9월”이라고 말했다. 5.5세대 OLED 양산 경험이 풍부한 삼성디스플레이조차 A3 첫번째 라인 가동에 8개월 간 애를 먹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BOE의 9월 목표가 많이 늦은 것도 아니다. 



유기재료 공급업체 1차 선정은 완료



중국 BOE그룹은 청두에 위치한 6세대 플렉시블 OLED 라인 'B7'의 대량 양산을 시작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중국에서 6세대 플렉시블 OLED 대량 양산을 시작한 것은 BOE가 처음이다. (사진출처=OFweek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지난 5월 중국 BOE는 청두에 위치한 6세대 OLED 라인 'B7'의 대량 양산을 시작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오프위크



아직 시험가동 수준의 양산이지만, BOE가 B7을 가동하기 시작하면서 공통층 및 발광층용 유기재료 공급업체 윤곽도 잡혔다. 한 유기재료 업체 관계자는 “B7의 유기재료 공급사는 삼성전자 ‘갤럭시S’ 향(向) 벤더를 거의 그대로 원용했다”고 말했다.
 

대체가 불가능한 적⋅녹색 도판트(UDC), P도판트(삼성SDI)외 재료도 삼성전자 향 공급사를 그대로 갖다 썼다는 뜻이다. 


경쟁이 극심했던 적색 호스트는 덕산네오룩스, 녹색호스트는 신일철주금이 각각 선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덕산네오룩스는 BOE가 B7 투자 초창기부터 핵심 협력사로 선정, 국내 사업장에서 재료 증착 테스트를 시행하는 등 일찌감치 공급이 유력시됐다. 


다만 이번 재료 협력사 선정은 아직 ‘완성형’이라고 보기는 힘들다. 아직 가동률이 저조한 만큼, 향후 램프업 과정에서 공급사가 바뀔 여지는 많다. 삼성⋅LG디스플레이도 신규 라인 가동시에는 유기재료 세트와 협력사 교체 주기를 짧게 가져간다.


업계 관계자는 “B7의 가동률은 물론 수율 역시 0%에 수렴할 정도로 가동 초창기”라며 “향후 유기재료 공급업체가 바뀔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KIPOST(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