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300㎜ 웨이퍼 생산 장비 반입 시작
M8 총 면적의 약 2% 수준인 200평 규모

SK하이닉스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시설을 중국으로 이전하며 생긴 충북 청주 M8 공장에 SK실트론의 생산 설비가 들어간다. M8은 200㎜ 파운드리 생산시설로 설계돼 층고가 낮고 시설이 노후한 탓에 SK하이닉스가 처리 방안을 고민해왔다.

 

SK실트론 임차 공간 200평 규모, 연내 장비 반입

▲SK하이닉스 청주공장 전경./SK하이닉스
▲SK하이닉스 청주공장 전경./SK하이닉스

반도체 웨이퍼 생산 업체 SK실트론은 최근 SK하이닉스와 협의를 통해 M8 공장 일부 임차를 결정했다. 현재 양측은 구체적인 임대 시기와 기간을 조율 중이다. SK실트론 측에 따르면 연내 300㎜ 웨이퍼 생산을 위한 장비 반입이 시작된다. 2022년 7월까지 월 생산능력 기준 2만장 규모로 구축된다. SK실트론이 SK하이닉스로부터 임차하기로 한 공간은 200평 정도다.

SK하이닉스는 지난 2017년 파운드리 사업을 SK하이닉스시스템IC로 분사했다. SK하이닉스시스템IC는 지난해부터 M8 내 파운드리 생산시설을 중국 우시로 이설 중이다. 2022년 말까지 M8 공장 설비가 모두 중국으로 옮겨가는 일정이다. SK실트론은 이 공장의 설비가 완전히 이전 되기 전에 생산 라인 구축을 시작하게 된다.  

SK실트론은 최근 한 고객사로부터 300㎜ 에피(EPI) 웨이퍼 긴급 생산을 요청받았다. SK실트론 관계자는 "기존 경북 구미 1·2·3공장 생산능력만으로는 고객사 일정을 맞추기 어려워 M8 공장에 증설을 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전체 SK실트론의 생산 규모에 비하면 그리 크지는 않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SK실트론의 정확한 웨이퍼 생산 능력은 알려진 바 없으나 M8 공장에서는 SK실트론 총 생산량 기준 약 1% 가량의 웨이퍼가 생산될 계획이다. 

반도체 웨이퍼. /사진=SMIC
반도체 웨이퍼. /사진=SMIC

M8은 파운드리 공장으로 운용되어왔기 때문에 SK실트론이 새 부지를 얻어 생산 시설을 마련하는 것보다 효율적이다. 새 공장을 짓는다면 부지 선정에서부터 공장 건설, 클린룸 마련 등으로 인해 증설에 더 오랜 기간이 걸린다. SK실트론 관계자는 "그럼에도 최소 6개월 이상의 기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한 반도체 장비 업체 임원은 "단순히 건물과 외벽 뿐만 아니라 유틸리티라고 불리는 배선⋅배관 등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SK실트론 입장에서는 증설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여 고객사 긴급 요청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이번에 SK실트론이 임대하는 공간의 규모는 전체 M8 공장 면적의 약 2% 수준이다. 향후 SK실트론 사업 확장에 따라 나머지 공간도 임차해 사용할 가능성도 높다. 

SK실트론의 웨이퍼 설계. /자료=SK실트론
SK실트론의 EPI웨이퍼는 Logic Device 및 CMOS 이미지센서 등 비메모리반도체에 사용된다.  /자료=SK실트론

SK실트론은 국내 유일 반도체 실리콘 웨이퍼 생산 업체다. 지난해 일본 신에츠와 섬코, 대만 글로벌웨이퍼스, 독일 실트로닉 뒤를 이어 전세계 실리콘 웨이퍼 생산량 5위를 기록했다. 점유율로 따지면 약 11% 수준이다. 현재 200㎜와 300㎜ 웨이퍼를 약 3:7 비중으로 생산하고 있다. 

지난 2019년 8월에는 미국의 화학기업 듀폰의 실리콘카바이드(SiC) 웨이퍼 사업부를 인수했다. SiC 웨이퍼를 인피니언, NXP 등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 업체에 공급 중이다. SiC 웨이퍼는 에너지 밴드갭이 큰 소재로, 고온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해 차량용 반도체 및 고압 전력반도체에 사용된다. 

저작권자 © KIPOST(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