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첨단로봇산업 전략 발표…로봇 국내시장 20조원·수출 5조원 목표
제조부터 농업·서비스·국방·의료·돌봄까지…2030년까지 100만대 로봇 투입

▲첨단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첨단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정부와 민간이 오는 2030년까지 3조원 이상을 투자해 2021년 5조6천억원 수준이던 국내 로봇 시장을 20조원 이상 규모로 육성하기로 했다. 커진 국내 시장을 기반으로 로봇 수출도 2021년 1조1천억원에서 2030년 5조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특히 심각한 인구 급감에 대응하기 위해 전 산업·사회 영역에 100만 대의 ‘로봇군단’을 투입해 사회 문제 해결에 적극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4일 방문규 장관 주재로 경기 성남시 판교 만도넥스트M 사옥에서 첨단로봇산업 전략회의를 열어 이 같은 목표를 담은 ‘첨단로봇산업 비전과 전략’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산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산인구가 급감하는 인구 구조 변화에 대응하고, 로봇 산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키우기 위해 이번 로봇산업 전략을 수립했다고 설명했다.

첨단로봇은 자동차·조선 등 전통 제조업뿐 아니라 방위 산업과 항공, 서비스업 등 산업 전반에 활용도가 크다. 반도체·배터리·IT(정보기술) 등 국내 후방 산업이 탄탄해 비교적 기술력을 끌어올리기도 용이한 편이다. 산업부에 따르면 글로벌 로봇 시장 규모도 2021년 282억 달러에서 2030년 831억 달러로 빠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로봇산업 부품 국산화율이 44%에 그치고, 아직은 전기·전자·자동차 등 일부 산업 현장에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산업부에 따르면 서비스 로봇 시장 규모는 제조 로봇의 3분의 1로, 이마저도 절반이 넘는 53%가 중국산이다. 로봇 기업 2500개사 중 99%가 매출 10억원 이하의 중소기업인 점도 넘어야 할 산이다.

이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로봇산업 발전 전략은 크게 세가지가 골자다.

우선 2030년까지 민관 합동으로 3조원 이상을 투자해 기술·인력·기업 경쟁력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5개 하드웨어 기술(감속기, 서보모터, 그리퍼, 센서, 제어기)과 3개 소프트웨어 기술(자율조작, 자율이동, 상호작용) 등 8대 핵심기술 확보를 추진한다. 이같은 과제를 구체화하기 위해 내년 상반기 중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부품 국산화율을 2030년 80%까지 끌어올린다. 매출액 1천억원 이상 지능형 로봇 전문기업도 30개 이상 육성할 방침이다. 로봇 전문대학원을 중심으로 첨단로봇 특화 인재 4000명 양성도 추진한다. 기계·전자 등 타 분야 인력 양성 과정에서 로봇 교육도 병행하기로 했다. 300억원 규모의 로봇 전문펀드도 연내 조성할 예정이다.

둘째, 전 산업 영역을 대상으로 2030년까지 로봇을 100만대 이상 대폭 보급할 계획이다. 제조업·농업·물류 등 산업적 용도로 약 68만대, 국방·의료·복지 등 사회적 활용 용도로 약 32만대를 공급한다.

로봇 투입으로 생산 현장은 크게 달라질 것으로 정부는 기대했다. 1인당 노동생산성은 연평균 3.4%씩 높이지만, 산업 재해는 줄이겠다는 목표다. 2021~2030년 기간에만 생산가능인구 320만명이 줄어들 것으로 예측되는 만큼 로봇과의 협업으로 노동시장 변화에 대응하는 셈이다. 산업부측은 "돌봄·의료 분야 등 사회적 효용을 극대화하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같은 사회적 활용을 통해 로봇기업이 국내 시장을 기반으로 충분한 운용 경험을 쌓아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정부간 협력을 강화하고 해외 인증도 지원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법·제도 정비에도 적극 나선다. 우선 '지능형 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을 전면 개편한다. 기술 진보와 로봇산업 변화에 맞게 지원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새롭게 갖춘다는 계획이다. 부품과 소프트웨어 등 지원 범위를 확대하고 범부처 연계가 강화될 전망이다.

4대 분야 51개 로봇 규제 개선도 지속된다. 올해 약 20개 규제가 해소됐고, 내년 40개 이상 규제 개선이 완료될 예정이라고 산업부 측은 설명했다. 또 개발된 로봇이 시장과 국민 눈높이에 맞게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2000억원을 투자해 국가로봇테스트필드도 구축한다.

이밖에 로봇 활용 안전성을 제고하기 위해 로봇 안전관리체계를 강화한다. 로봇 확산에 따른 사회적 공감대를 마련하는 차원에서 로봇윤리 가이드라인도 내년 중 공개될 예정이다.

한편 이날 전략회의에서는 첨단로봇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로봇제조기업, 부품기업, 지원기관 등 11개 기관이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각 기관은 공동 연구개발, 시장창출, 표준화 등에 협력을 추진하기로 약속했다.

방문규 산업부 장관은 "로봇산업이 글로벌 수준 기술력을 확보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 'K-로봇경제'를 실현할 수 있도록 투자 확대와 해외 신시장 창출 등을 위해 범정부적으로 정책 역량을 결집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KIPOST(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로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