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중국 의존도 낮추기 위해 대만 페가트론 인도 공장서도 아이폰14 생산

아이폰14 시리즈. /사진=애플
아이폰14 시리즈. /사진=애플

애플 아이폰의 최대 생산 거점인 중국 정저우 폭스콘 공장이 코로나로 인해 결국 일시 폐쇄되면서 최신 아이폰14 시리즈 생산에 큰 차질을 빚게 됐다. 앞서 중국 정부의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외부와 차단된 채 생산 라인에 투입됐던 노동자들이 견디다 못해 집단 탈주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던 곳이다. 애플은 부랴부랴 인도로 생산 거점 다변화에 나섰지만 단기적으로 아이폰 생산 타격과 공급망 전반에 대한 영향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폭스콘 공장이 위치한 허난성 정저우시 산업단지에 대해 2일 정오부터 7일간 폐쇄 명령을 내렸다. 이 공장은 아이폰14의 80%, 프리미엄 제품인 14 프로의 85% 이상을 생산하는 곳이다. 이번 조치는 정저우시에서 코로나 환자가 하루 만에 95명에서 359명으로 급증한 데 따른 것이다.

최근 노동자 집단 탈주 사태와 이번 봉쇄 조치로 11월 아이폰 생산량이 30%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온다. 특히 캐시카우인 아이폰14 프로 시리즈의 전 세계 공급이 달리는 와중에 터진 악재여서 2일(현지 시각) 뉴욕 증시에서 애플 주가는 3.73%나 급락했다.

앞서 정저우시는 코로나 확산으로 시 전역을 완전 봉쇄했으나, 폭스콘 공장만은 가동을 허용해온 상황이었다. 아이폰14 출시 두 달도 안 된 상황에서 폭스콘은 근로자 출퇴근을 금지하고, 외부와 차단한 채 생산을 계속해왔다. 폭스콘은 노동자들의 불만을 달래기 위해 보너스를 4배로 늘리는 비상 조치를 취했지만, 결국 공장 폐쇄를 피하지 못한 것이다.

애플은 선전을 포함한 중국 내 폭스콘 공장을 통해 정저우 공장의 공백을 최대한 메운다는 입장이지만 성수기인 4분기를 앞둔 상황에서 타격이 더욱 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폭스콘 정저우 공장은 세계 아이폰 출하량의 절반 이상을 생산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아이폰14 프로(고급형) 모델은 지금도 주문 후 제품 대기 시간이 한달 가까이 걸리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애플의 단기 실적에는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현재 아이폰 판매는 애플 전체 매출의 약 절반을 차지한다. 지난 3분기 매출과 순이익은 모두 월가 예상치를 넘어 양호했지만, 아이폰 판매는 시장 기대치(432억1천만 달러)를 충족하지 못했다. 가뜩이나 애플로서는 애를 태우던 처지였던 셈이다.

이에 따라 애플은 부랴부랴 아이폰14의 생산을 대만 페가트론에 맡기며 생산 거점을 인도로 다변화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지난 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페가트론은 폭스콘에 이어 인도에서 아이폰14를 생산하는 두 번째 애플 협력업체가 됐다. 인도 남부 타밀나두주에 있는 페가트론 공장은 이번 아이폰14 생산에 앞서 올해 초부터 아이폰12를 제조했다. 페가트론은 통상 아이폰 기본 모델을 생산해왔다.

앞서 지난 9월부터 애플의 최대 협력업체인 폭스콘은 인도에서 아이폰14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이는 애플이 아이폰14를 공개한 지 몇 주 후에 이뤄진 것으로, 아이폰의 핵심 생산 거점인 중국에서 제조를 시작한 시점과 거의 비슷하다. 다만 고급 모델인 아이폰14 프로는 폭스콘이 중국 정저우시에서 독점 생산하고 있다.

투자은행 JP모건에 따르면 애플은 2025년까지 아이폰 조립의 4분의 1 이상을 인도로 이전할 계획이며, 올해 연말까지 5%의 물량이 인도에서 생산될 전망이다. 이 같은 생산 이전 작업은 이미 지난 2017년 중저가 모델(아이폰 SE)부터 적용됐으며, 최근에는 최신 모델까지 적용 범위를 확대하는 등 속도를 내고 있다. 한편 블룸버그에 따르면 인도 최대 기업인 타타그룹은 또 다른 대만 위탁생산 업체인 위스트론과 합작해 인도 현지 아이폰 위탁생산 업체를 설립할 계획인 것으로도 알려졌다.

저작권자 © KIPOST(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