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차세대 자율주행 차량통신 기술 개발 사업 성과 시연회 개최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원장 신희동) 모빌리티플랫폼연구센터는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 주행시험장에서 ‘차세대 자율주행 차량통신 기술 개발 사업’ 성과 시연회를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차세대 자율주행 차량통신 기술 개발 사업’은 지난 2022년 4월부터 2025년 12월까지 45개월간 추진되고 있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지원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사업은 초고속·초저지연·고신뢰의 5G-NR-V2X 기술을 실도로 환경에서 검증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제 표준 고도화와 자율주행 산업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한다.
연구팀은 ▲5G-NR-V2X 자체 개발 IP 및 상용 칩 기반 통신장치 응용 서비스 구현 ▲통신 성능 검증 프로토콜 개발 ▲OBU·RSU 시제품 제작을 주요 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커넥티드 자율주행 성능 검증과 레벨4 이상 자율주행 서비스 지원 기술 개발의 두 개 세부 과제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번 시연회는 총괄연구기관인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모빌리티플랫폼연구센터를 비롯해 1세부 공동연구기관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KT,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LG전자,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 오비고, 에이브이지니어스, 한국도로공사, 한국정보산업연합회, 그리고 2세부 주관기관인 대보정보통신, 2세부 공동연구기관인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에티포스, 켐트로닉스, 엠피온, 아우토크립트, 인하대학교, 텔레칩스, 한양대학교 등 산·학·연 17개 기관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다.
시연회에서는 레벨4 이상 완전자율주행을 위한 핵심 기술인 초고속(150Mbps 이상)·초저지연(3ms 이하)·고신뢰(PRR 99.99% 이상) 특성을 갖춘 5G-NR-V2X 기반 차량통신 기술의 구현 성과가 공개됐다.
또 KETI 모빌리티플랫폼연구센터 주도로 개발한 5G-NR-V2X Sidelink IP, 통신 모듈, OBU 및 RSU 시제품 기반의 다양한 응용 서비스가 현장에서 실증·시연됐다.
시연회에서는 자율주행·SDV·친환경차로 전환하는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흐름 속에서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를 진단하고, 사업의 연구 성과를 현장에서 점검하며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했다.
아울러 5G-NR-V2X 통신 성능 특성을 검증하기 위한 응용 서비스 시연이 함께 진행됐다.
이번 시연에서는 ▲Platooning(한국전자기술연구원·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 ▲Sensor Sharing(한국전자통신연구원) ▲Advanced Driving(오비고) ▲Remote Driving(에이브이지니어스) 등 각 기관이 개발한 서비스를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 주행시험장에서 선보였다.
‘차세대 자율주행 차량통신 기술 개발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지원하는 국가 연구개발사업의 하나로, 완전자율주행(레벨4 이상)을 위한 5G-NR-V2X 통신 기술 개발 및 검증 기술 개발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이 사업을 통해 5G-NR-V2X 통신용 OBU(차량단말기)와 RSU(노변기지국)를 활용한 실도로 시험 환경이 구축됐으며, 이를 기반으로 초고속(150Mbps 이상)·초저지연(3ms 이하)·고신뢰(99.99% 이상) 특성과 악조건에서도 안정적인 통신 강건성을 검증할 수 있는 자율주행 서비스 개발과 성능 데이터 확보가 가능해졌다.
한편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은 산업통상부 산하 전자 IT 분야 전문 생산 연구 기관으로, 1991년 설립 이래 첨단 산업 분야에서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성장을 견인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