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산업, 상반기 패널 수출 전년 대비 16.2%, 장비 22.2% 각각 증가
한국, 프리미엄 OLED 5대 분야 평균 90% 이상 점유율로 압도적인 기술적 우위
세계적인 경기 회복세와 프리미엄 OLED 기술 리더십에 힘입어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의 상반기 수출이 전년 대비 두자릿수대의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의 추격에도 불구하고 프리미엄 OLED 시장에서는 국내 업계의 세계 시장 점유율이 90%를 유지해 여전한 아성을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는 30일 '24년 상반기 수출 실적 및 하반기 전망'을 통해 지난 상반기 디스플레이 패널 수출액이 지난해보다 16.2% 증가한 약 89억불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IT품목 중 최장기간인 11개월 연속 수출 증가세를 보인 결과다.
상반기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은 전년 대비 13% 증가한 608억달러로 추정되며, 전체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OLED가 차지하는 비중은 23.2% 늘어난 217억달러로 36%를 점유했다. 이 기간 한국의 수출액 중 OLED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70%로 전년 대비 약 10% 증가한 62.6억달러를 기록했다.
중국의 경기 침체 및 애국 소비로 대중국 아이폰 등 스마트폰 패널 수출이 감소(3.1%)했음에도 OLED가 적용된 IT 신제품 출시, 선진 시장 수요회복으로 전체 수출액은 증가했다. 특히 상반기 스마트폰 시장에서 중국의 자국산 패널 수급 비중 확대로 OLED 패널 점유율도 증가추세이나 여전히 한국이 출하 및 시장 기준 모두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또 글로벌 고객의 스마트폰·태블릿·노트북·TV·모니터 등 5대 품목 중 프리미엄 라인의 점유율에서도 한국이 약 90% 이상 차지하며 압도적인 우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협회는 하반기 AI 기능이 적용된 애플 아이폰 16 시리즈와 투스택탠덤 OLED IT 제품 출시 효과로 올해 OLED 수출은 역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와 함께 그동안 수출실적이 미약했던 디스플레이 소부장 분야에서는 지난 상반기 기술 발전 및 업황 회복 영향으로 장비 및 유기재료의 상반기 수출이 각각 전년 대비 22.2%, 8.3% 증가했다. 이는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의 생태계 구축이 수출산업화로 본격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국내 디스플레이 소부장 국산화율은 타 업종 대비 71.5%의 높은 편으로 국내 뿐 아니라 세계시장에서도 점유율을 확대 중이다.
협회는 하반기이후에도 국내 소부장 기업들의 추가 수주 및 수주실적이 이어지면서 수출 증가가 실현될 것으로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