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SA, PC용 디스플레이 가변 주사율 성능에 관한 공개 표준과 로고 프로그램 발표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비디오 전자공학 표준 협회)는 처음으로 가변 주사율(variable refresh rate, VRR) 디스플레이의 FOS(front of screen) 성능에 관한 공개 표준을 발표한다고 3일 밝혔다.
VESA 어댑티브-싱크 디스플레이 적합성 테스트 규격(Adaptive-Sync Display CTS)은 VESA의 어댑티브-싱크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PC 모니터와 랩톱 디스플레이에 대해서 50가지 이상의 포괄적이고 엄격한 테스트 기준, 자동 테스트 방법론, 성능 요건을 정의하고 있다.
어댑티브-싱크 디스플레이 CTS는 또한 두 등급으로 이루어진 제품 적합성 로고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어댑티브싱크 디스플레이(AdaptiveSync Display)는 게임용으로 훨씬 더 높은 주사율과 낮은 지연시간에 중점을 둔 것이고, 미디어싱크 디스플레이(MediaSync Display)는 지터 없는 미디어 재생에 관한 것으로 모든 국제 방송 비디오 형식을 지원한다.
VESA 인증 어댑티브싱크 디스플레이(Certified AdaptiveSync Display) 및 미디어싱크 디스플레이(MediaSync Display) 로고 프로그램을 통해, 소비자는 제품을 구매하기 전에 어댑티브-싱크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의 가변 주사율 성능을 손쉽게 비교해볼 수 있게 됐다. 어댑티브-싱크 디스플레이 CTS와 VESA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적합성 테스트를 모두 통과해야만 VESA 인증 어댑티브싱크 디스플레이 또는 미디어싱크 디스플레이 로고를 부착할 수 있다.
지난 2년여간 노력 끝에 개발된 VESA의 어댑티브-싱크 디스플레이 CTS 및 로고 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 생태계를 구성하는 20개 이상의 VESA 회원사들의 참여로 이뤄졌다.
지난 2014년 VESA가 VESA 디스플레이포트 비디오 인터페이스 표준에 어댑티브-싱크 프로토콜을 추가함으로써 게임과 비디오 재생으로 좀더 매끄럽고 눈이 덜 피곤하게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게 됐으며, 광범위한 프레임 레이트로 콘텐츠를 표시함에 따라 전력 소모를 낮추고 효율을 높이게 됐다. 이후 VESA의 어댑티브-싱크 기술이 디스플레이 업계 전반으로 널리 채택됐으며, 지금은 거의 모든 GPU 칩셋 회사가 이 기술을 지원한다.
오늘날 많은 PC 및 랩톱 디스플레이가 어댑티브-싱크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있지만, 아직 디스플레이의 어댑티브-싱크 지원 성능이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공개 표준은 없었다. VESA의 어댑티브싱크 디스플레이 및 미디어싱크 디스플레이 로고 프로그램은 이같은 필요를 충족하는 것으로서, 어댑티브-싱크 디스플레이 CTS에 따른 테스트를 통해서 가변 주사율 동작의 시각적 성능을 판단할 수 있는 명확한 기준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