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기기 수요 증가와 미-중 무역분쟁, 5G 등 맞물려
올해 8% 성장하고 내년에는 13% 증가... 메모리 투자 기점은 내년

법원은 오는 8월 이후 신일철주금의 국내 자산 강제 매각에 들어간다. 일본 정부는 이를 계기로 재차 보복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사진은 반도체 웨이퍼.
반도체 웨이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일상이 송두리째 바뀌었다. 반도체 산업도 영향권 안에 들었지만, PC와 게임, 헬스케어 전자 기기 등의 수요 증가와 다가오는 5G 투자에 대비, 장비 투자액은 지난해보다 늘어났다. 미-중 무역분쟁이 이어지면서 안전 재고를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부쩍 증가한 것도 주요 원인 중 하나다.

세계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는 '팹 전망 보고서(World Fab Forecast)'를 통해 전 세계 전공정 생산라인(Fab) 장비 투자액이 올해 8% 성장하고 내년에는 13% 증가할 것이라고 보인다고 9일 밝혔다.

 

SEMI는 반도체 전공정 장비 투자액이 올해 증가세를 회복해 내년 다시 정점을 찍을 것으로 내다봤다./SEMI

메모리 팹 장비투자액은 올해 전년 대비 37억 달러(약 4조3978억원) 증가한 264억 달러(약 31조3790억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대비 16% 증가한 수치다. 내년에는 다시 18% 늘어난 312억 달러(약 37조843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3D 낸드 투자는 올해만 39% 증가한 후 내년에는 7%의 완만한 성장을 보인다. D램 팹 장비 투자액은 올해 하반기 둔화세를 보이며 4% 성장하고 2021년에는 39%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파운드리 장비 투자액은 지난해보다 25억 달러(약 2조9715억원) 증가한 232억 달러(약 27조5775억원)로, 내년에는 2% 증가한 235억달러(27조9321억원)가 투입될 것으로 추측했다.

마이크로프로세서(MPU) 분야는 지난해보다 투자 규모가 18% 줄어들었지만 내년에는 9% 늘어난 60억 달러(약 7조1316억원)의 설비 투자가 진행될 예정이다. 5G와 자동차의 전장화로 혼합신호(Mixed-signal) 반도체와 전력 반도체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가 이어지면서 아날로그 반도체 팹 장비 투자액은 올해 48% 급증한 후 2021년에는 6%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지 센서 팹 장비 투자액은 올해 30억 달러(3조5665억원)로 예상되며 2021년에는 11% 성장한 34억 달러(4조409억원)를 달성할 전망이다.

한편 지난 2분기 반도체 장비(전·후공정 합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6% 상승한 168억 달러(19조9668억원)를 기록했다. 1분기보다는 8% 성장한 수치다. 매출 1위 지역은 중국으로 약 45억9000만 달러(약 5조4552억원)를 기록했고, 한국(44억8000만달러), 대만(35억1000만달러)이 뒤를 이었다.

각 지역의 분기별 반도체 장비(전·후공정 합산) 매출액 통계./SEMI

 

저작권자 © KIPOST(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