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직에선 핀펫 도입 후 급속열처리(RTP) 공정 대신 활용
메모리에선 미세구조 복원, 오믹 접합 형성 등에 쓰여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레이저 어닐링(Laser annealing) 기술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레이저 어닐링 기술은 반도체에서 새로운 게 아니다. 핀펫(FinFET) 공정이 도입된 이후 기존 급속열처리(RTP) 공정의 상당 부분을 레이저 어닐링, 즉 레이저열처리(LTP)가 대체했다.

다시 이 기술이 조명받는 건 메모리 반도체에서도 이를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로직에서 쓰인 것과 완전히 다른 역할이다. 당장 양산 라인에 들어가는 건 아니지만, 차세대 D램 양산에 활용될 전망이다. 

 

로직 공정, RTP 대체한 LTP

반도체 제조에서 열처리 공정은 필수다. 이온 주입(Diffusion) 공정 이후 발생한 손상을 완화할 때, 불순물(Dopant)을 활성화할 때, 고유전율(High-k) 층이나 금속 박막을 만들 때 반드시 거치는 게 열처리 공정이다.

 

퍼니스 장비와 RTP(RTA) 장비의 구조 차이./SK하이닉스블로그
퍼니스 장비와 RTP(RTA) 장비의 구조 차이./SK하이닉스블로그

핀펫 이전 로직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열처리 공정 장비로는 RTP와 퍼니스(Furness)가 쓰였다. 

퍼니스는 내부에 장착된 히터로 상온에서부터 1분에 10℃씩 온도를 서서히 끌어올려 고온을 일정 시간 유지하고 다시 서서히 냉각시키는 방식이다. 웨이퍼 표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지만, 시간 조절을 잘못하면 도펀트가 기판 내부로 깊숙이 확산해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 나온 게 RTP다. RTP는 텅스텐 할로겐 램프로 적외선·자외선 복사광선을 웨이퍼에 순간적으로 쪼여 열 에너지를 공급한다. 

‘급속’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만큼 1초에 100℃씩 빠르게 온도를 올릴 수 있었고, 가스 제어가 쉬워 복잡한 박막을 증착할 때 유용했다. 하지만 온도가 올라갈 때 웨이퍼의 가장자리보다 가운데 온도가 더 높아 웨이퍼가 뒤틀리거나 단층(Dislocation)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했다.

두 장비의 공통점은 웨이퍼 전체에 열을 가한다는 점이다. 핀펫 공정 이전까지는 두 장비로도 충분히 열처리를 할 수 있었지만, 핀펫 공정이 도입되고 막질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웨이퍼 전체를 가열하는 두 장비로는 한계가 있었다.

LTP는 RTP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됐다. 특히 도판트를 확산하거나 하이케이 및 메탈 박막을 균일하게 형성할 때, 다결정 실리콘층의 저항을 낮출 때처럼 웨이퍼의 일부에만 열이 가해져야 할 때 활용됐다. 

LTP는 이산화탄소(CO2)나 다이오드 레이저로 원하는 부분에만 열 에너지를 줄 수 있다. 온도를 올리는 데 수 초가 걸리는 RTP와 달리 수 마이크로초(㎲)만에 RTP보다 더 높은 온도를 만들기 때문에 전체 웨이퍼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 RTP가 오븐에서 빵을 굽듯 웨이퍼를 처리한다면 LTP는 토치로 재료의 겉면만 익힌다고 보면 된다.

현재는 삼성전자·SK하이닉스·인텔·TSMC 등 대부분의 반도체 제조사들이 최신 로직 공정에서 LTP 장비를 활용하고 있다. 장비는 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AMAT), 울트라텍을 인수한 비코(Veeco), 중국 맷슨테크놀로지(Mattson technology) 등이 공급한다.

 

LTP, 로직에서 메모리로 

 

AMAT의 'VANTAGE ASTRA 동적표면어닐링(DSA)' 시스템. 이 시스템의 레이저는 웨이퍼 표면층 원자의 최상위 몇 층을 초당 1000만℃ 속도로 가열한다./AMAT
AMAT의 'VANTAGE ASTRA 동적표면어닐링(DSA)' 시스템. 이 시스템의 레이저는 웨이퍼 표면층 원자의 최상위 몇 층을 초당 1000만℃ 속도로 가열한다./AMAT

로직에서만 활용되던 LTP는 최근 메모리로 영역을 확장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메모리 중에서도 D램 제조에 이 기술이 활용될 전망이다.

이오테크닉스는 삼성전자와 독점 공급 계약을 맺고 이를 개발, 지난 2016년 삼성전자에 LTP 장비 3대를 납품했다. 최근 삼성전자로부터 이 중 1대 설비에 대한 구매주문서(PO)를 받았다. SK하이닉스 또한 여러 업체들을 대상으로 LTP 장비를 검증하고 있다. 

메모리에서 LTP는 로직과는 다른 공정(step)에 활용된다. 단층을 이루는 분자간 결합 등 미세구조(Microstructure)를 복원하거나 소자와 금속 배선을 연결하는 접합(contact) 중 하나인 오믹 접합(Ohmic contact)을 형성할 때 쓰는 게 유력하게 꼽힌다. 

물론 당장 LTP가 D램 양산 라인에 도입되는 건 아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모두 연구개발(R&D)에서 먼저 LTP 장비를 검증해본 다음 양산 라인에 도입할 계획이다. 양산 라인에 들어가는 시점은 빨라야 내년 말로 점쳐진다.

이에 이오테크닉스 외 열처리장비나 레이저를 다뤄온 다른 장비 업체들도 이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기회를 엿보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실리콘카바이드(SiC), 갈륨나이트라이드(GaN) 등 Ⅲ-Ⅴ 화합물 반도체 제조에서는 이미 오믹 접합을 만들 때 레이저 어닐링을 활용한다”며 “로직에서는 단순히 RTP를 대체하는 역할이었다면, 메모리에서는 핵심 공정 중 하나로 쓰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KIPOST(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