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 Industry Post (kipost.net)]  2차전지 핵심 소재 중 하나인 코발트가 ‘분쟁광물’로 지정될 전망이다. 분쟁광물로 지정되면 유통단계에서 이를 취급하기가 더 까다롭게 돼 중⋅단기적인 코발트 가격 상승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photo
 

▲중앙 아프리카 내 주요 분쟁광물 지도 / 한국무역협회 제공



14일 업계에 따르면 분쟁광물 규제 담당 단체 ‘책임있는 자원 계획(Responsible Minerals Initiative, RMI, 구 CFSI)’은 국내 분쟁광물 규제를 담당하는 한국도시광산협회(이하 광산협회)에 코발트 관련업체 조사를 의뢰했다.


분쟁광물은 아프리카 내 분쟁국가에서 불법적으로 채굴된 광물을 의미한다. 콩고⋅수단⋅르완다⋅콩고민주공화국(이하 민주콩고) 등 내전이 발생하는 중앙 아프리카 내 10개국 광물을 주 대상으로 한다. 이 지역에서 채굴된 광물 중 인증을 받지 않은 광물은 분쟁광물로 취급된다. 주로 반군이 아동, 여성 등을 통한 노동 착취로 광물을 캐 군자금으로 써 사회적 문제로 대두됐다.


현재 분쟁광물로 지정된 광물은 텅스텐⋅금⋅주석⋅탄탈륨 네 가지다. 미국⋅유럽 내 기업 또는 이들 국가 내 업체에 납품을 해야 하는 기관은 해당 광물을 거래할 때 분쟁광물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증빙 서류를 제출하고 실⋅감사를 받아야 한다.


만약 이를 위조하는 등 규정을 어길 경우, 미국 내 상장사는 상장폐지까지 가능하다. 미국 외 업체라면 해당 고객사로부터 거래 중지 처분을 받는다. 유럽연합(EU)도 이 규제에 참여했다. 해당 광물을 수입하는 수입업자, 정⋅제련소를 대상으로 공급망 실사의무를 규정했다.


코발트는 지금까지 RMI에서 내부적으로 분쟁광물 지정 준비만을 해올 뿐 특별한 행동이 감지된 바는 없었다. 그러나 최근 10월 말부터 광산협회 측에 국내 코발트 정⋅제련 시설을 갖춘 업체들을 문의하며 해당 업체들의 코발트 취급 과정을 알아보는 등 구체적인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했다. RMI는 국내 코발트 취급 업체들을 직접 연락하며 관련 소재 공급망을 파악할 전망이다. 코발트 분쟁광물 지정 시점은 내년 상반기로 예상된다.


RMI는 이전부터 코발트를 분쟁광물 지정하는데 관심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해외 헤지펀드가 코발트를 사재기 하고 시장 자체에 코발트 부족현상이 일어나는 등 기현상이 일어나며 계획을 내부적으로만 진행하고 외부에 알리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다.


RMI가 정⋅제련 시설 및 과정까지 살피겠다는 것은 업체 내 원재료 구매 소스를 보겠다는 의도로 평가된다. 설준호 한국광물자원공사 자원정보센터 차장은 “코발트 국제 시장은 보통 연간 10만톤으로 평가된다”며 “큰 시장이 아니기 때문에 살펴보면 정⋅제련 시설 및 과정을 통해 공급망을 살펴 볼 수 있어 이를 살펴보겠다는 의도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분쟁광물 지정은 단기적으로 전기차 산업에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코발트는 전기차용 2차전지 양극 소재 중 가장 중요한 소재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가 성공하려면 친환경적이라는 점 외에도 내연기관보다 경제적이라는 점이 소비자의 주목을 받고 있다”며 “코발트 가격이 오르는 만큼 전기차 내 배터리 가격에 영향을 끼치며 전기차 보급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초 코발트 국제 거래 가격에 영향을 준 헤지펀드는 사재기한 코발트를 판매할 것으로 전망됐다. 강정화 수출입은행 선임연구원은 “사재기도 의미가 있으려면 배터리 수요가 늘어나야 의미가 있는 것”이라며 “수요가 급감할 수 있기 때문에 헤지펀드에서 합리적으로 가격을 조절할 가능성은 있으나 터무니 없는 가격을 요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헤지펀드가 적정 선에서 코발트를 판매할 것으로 전망한다는 뜻이다.


광산 업계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코발트를 대체하는 물질이 나올 것으로 전망한다. 현재 2차전지 업계는 전지 내 코발트 함량을 줄이고 니켈 함량을 늘리는 배터리 소재 연구를 진행 중이다.

 

저작권자 © KIPOST(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