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인수 이후 SK그룹이 추진해 온 반도체 소재 국산화 시도가 속속 결실을 맺고 있다. 내부거래 시장(캡티브 마켓)의 효과가 계열사 전반에서 나타나고 있다. 반도체 회사 인수가 석유·화학 등 기간 산업 위주로 운영되던 SK그룹의 화학·소재 사업이 첨단 반도체 공정용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전환되는 계기가 된 것이다.   

 

 

 

photo
▲최태원 SK그룹 회장. /SK(주) 제공

 

 

10일 업계에 따르면 SK머티리얼즈는 육불화텅스텐(WF6) 공장 증설을 한데 이어 SK하이닉스 신 라인에 삼불화질소(NF3) 공급도 추진한다. SKC는 이번달부터 SK하이닉스에 반도체 전공정에 쓰이는 화학적기계연마(CMP) 패드 공급을 시작했다. SKC솔믹스는 태양광 사업을 매각하고 반도체 공정용 파인세라믹 소재에 집중하기로 했다.

 

SK머티리얼즈가 생산하는 삼불화질소는 반도체 등 공정 장비를 세정하는 특수 가스로, 장비 챔버 내 화학물질 잔류물을 없애준다. 육불화텅스텐은 금속 배선 공정에 주로 쓴다. 고부가 전자 부품 시장에서는 미국 에어프로덕츠가 독보적인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가스는 반도체 공장과 함께 구축되는 기본 인프라를 이용하기 때문에 공장이 가동되는 한 지속적인 공급이 가능하다. 3D낸드플래시는 기존 2D 공정보다 특수 가스 수요가 약 30% 많아진다. 국산화 효과가 극대화되는 분야다.

 

SKC가 오는 2025년까지 매출액 3000억원을 올리겠다고 공언한 CMP패드는 반도체 공정에서 점점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는 소재다. 반도체 미세공정에서는 화학물질을 얇게 증착하고, 표면을 평탄하게 갈아내는 작업을 반복하는데, CMP 패드는 웨이퍼 표면에 직접 닿는 얇은 막이다. 패드 공급은 3M과 다우케미칼 등 미국 업체들이 장악했다. SKC의 패드 개발로 국내 케이씨텍, 솔브레인 등 CMP패드에 묻혀 쓰는 슬러리(Slurry) 공급사와 협업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SKC솔믹스는 반도체 소모품인 실리콘(Si), 실리콘카바이드(SiC), 알루미나(Al2O3) 등을 공급한다. 지난 2013년 SK하이닉스 국내 사업장에서 올린 매출액이 약 170억원, 2014년 201억원, 지난해 253억원으로 해마다 늘었다. 해외사업장으로 공급하는 제품은 정확하게 집계되지 않고, 50억원 이하 거래는 공시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고려하면 SK하이닉스 덕에 거둔 매출액은 공시 금액의 2~3배 가량 될 것으로 추정된다. 

 

반도체용 전구체(프리커서)를 개발하는 SK케미칼은 SK하이닉스의 구매 정책에 따라 중간 협력사에 자사 제품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SK하이닉스 내부거래 비중이 큰 SK그룹 계열사. /KINEWS 취합

 

계열사를 통한 국산화로 SK하이닉스가 얻을 수 있는 것은 낮은 구매력을 보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업계 2·3위로서 독과점 협력사로부터 소재를 조달할 때 경쟁사보다 협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SK그룹 계열사는 든든한 고객사를 확보하는 한편 까다로운 반도체 소재 기술을 밀착 개발할 수 있어 당장의 수익 외에 보이지 않는 기술 자산을 축적할 수 있다. SK하이닉스가 연간 구매하는 소재 등 소모품은 3조9500억원으로, 4조원에 달한다.   

 

SK가 공시한 바에 따르면 SK그룹 계열사가 SK하이닉스와 내부거래를 통해 얻은 매출액은 지난해 약 1조6469억1300만원이다. 신공장 건설로 SK건설은 2014년 1조134억원, 지난해 8995억원 가량을 벌었고, 반도체 테스트를 담당하는 SK하이이엔지와 사업장 관리를 맡은 SK하이스텍 역시 각각 지난해 1665억원, 422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저작권자 © KIPOST(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