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 충북 오창공장. /사진=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 충북 오창공장. /사진=LG에너지솔루션

LG전자 소재생산기술원(PRI)은 LG그룹 계열사들과 거래하기 위한 관문이다. 그런 PRI를 국내 중소⋅중견 장비업체들은 탐탁치 않게 여긴다. PRI를 거치지 않고도 LG디스플레이⋅LG이노텍과 직거래 할 수 있는데, 불필요한 단계를 늘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품목마다 다르지만 PRI를 통해 LG디스플레이⋅LG이노텍과 거래하면 장비 가격의 5~10% 정도는 PRI 몫이다. 그러나 일부 배터리용 장비 업체는 “LG에너지솔루션 만큼은 직거래보다 PRI를 통하는 게 낫다”고 말한다. 

배터리 장비 회사들이 LG에너지솔루션 직거래보다 PRI를 통한 거래를 선호하는 건 협력사에 일방적으로 불리한 LG에너지솔루션의 결제조건 탓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여타 장치산업 관례와 달리 30% 잔금(AT, Acceptance test) 조건을 고수한다. 잔금은 생산설비가 입고된 뒤 제대로 가동되는지 보고 지급하는데, 수령하는데 길게는 1년 이상 걸린다. 

물론 다른 장치산업에도 잔금 조건은 있다. 통상 10%의 대금을 묶어뒀다가 양산 통과 시점에 지급한다. LG에너지솔루션의 경우, 이 잔금 비율이 지나치게 높다는 게 문제다. PRI를 거쳐 LG에너지솔루션에 장비를 공급하면 비록 마진에서 다소 손해를 보지만 잔금 비율을 10%로 줄일 수 있다. 장비업체들이 PRI를 거쳐 LG에너지솔루션에 장비를 공급하는 게 오히려 낫다고 말하는 이유다.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장치산업에 잔금 10% 관례가 생긴데는 다 이유가 있다. 통상 장비업체가 제품을 팔아 남기는 이윤이 10% 안팎이다. 여기에 맞춘 것이다. 장비 성능이 기대에 못미쳐 대금 지급이 지연되더라도 중소⋅중견기업 자금 경색을 방지할 수 있다. 납품 시점에 받은 90% 제품값으로 2⋅3차 협력사에 자재 대금을 치르고, 직원들 인건비도 지급할 수 있다.

잔금 비율이 30%라면, 이윤 10%를 제외한 나머지 20%에 대한 자금 부담은 중소⋅중견기업이 짊어져야 한다. 장비 수주를 많이 할수록 부담은 더 커진다. 중국 BOE조차도 장비 잔금은 10%만 남긴다.  

물론 LG에너지솔루션도 지속적인 설비투자 때문에 자금 여력이 크지 않다. 구두형태지만 협력사들에게 “회사를 상장해서 자금 여력이 생기면 잔금 비중을 낮춰 주겠다”는 약속도 했다고 한다. 

안석현 콘텐츠 팀장(기자).
안석현 콘텐츠 팀장(기자).

그러나 배터리 장비 업계는 이 약속을 기다릴 만큼 여유롭지 않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사들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영세한 탓이다. 배터리 설비 투자 붐이 일어난 지 불과 2~3년 정도 밖에 되지 않았고, 상장사도 드물다. 상당수는 투자가 실종된 디스플레이 업계서 넘어온터라 자금 여력이 더욱 열악하다. 일부 설비 업체들은 “수주를 위해 증자를 해야 한다”고 말할 정도다. 

최근 LG는 그룹 전반적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가속화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도 ESG 경영 일환으로 2030년까지 전 사업에서 사용하는 전력을 100%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기로 했다. 국제 친환경 캠페인 ‘RE100’에도 가입했다.

RE100 가입이 ESG 경영 중 E(환경)를 충족하는 것이었다면, S(사회)는 협력사들을 위한 지원으로 채웠으면 한다. 기업도 사회의 일원이고, 협력사와 구성원들의 안녕에 이바지하는 게 결국 사회를 위한 길이다. 

그 첫 단추가 글로벌 선진 기업에 걸맞지 않은 30% 잔금 관행을 뜯어고치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면 더할 나위 없을 것이다.

저작권자 © KIPOST(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