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길호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 삼성 지원으로 초고감도 검출기 개발

이길호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이 삼성미 래기술육성사업의 지원으로 마이크로파 세기를 이론적 한계인 1초간 측정기준 1아토와트(100경분의 1와트) 수준으로 검출할 수 있는 초고감도 검출기를 개발했다./삼성전자

삼성전자(대표 김기남·김현석· 고동진)는 이길호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이 삼성미 래기술육성사업의 지원으로 마이크로파 세기를 이론적 한계인 1초간 측정기준 1아토와트(100경분의 1와트) 수준으로 검출할 수 있는 초고감도 검출기를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이 연구는 미국 레이시온 비비엔, 하버드대학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스페인 바르셀로나 과학기술연구소, 일본 물질재료연구기구와 공동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는 차세대 양자정보기술 상용화를 위한 원천 연구로 인정받아 지난달 30일(영국 현지시간) 최상위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게재됐다.

 마이크로파는 전자기파의 한 종류로 전자레인지는 물론 이동통신, 레이더, 천문학 등 폭넓은 과학 기술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양자컴퓨팅, 양자정보통신 등 양자정보기술에도 활용 가능하다고 알려지면서, 마이크로파를 초고감도로 검출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현재 마이크로파 검출기로 사용되는 볼로미터는 전기적인 저항의 변화를 이용해 흡수된 마이크로파의 세기를 계산한다.  마이크로파 흡수 소재, 흡수한 마이크로파를 열로 바꿔주는 소재, 발생한 열을 전기 저항으로 변환하는 소재로 구성돼있다. 하지만 마이크로파 흡수 소재로 실리콘이나 갈륨비소 등 반도체 소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1초간 측정했을 때 1나노와트(10억분의 1와트) 수준으로밖에 측정을 하지 못해 정밀성이 떨어졌다.

이길호 교수 연구팀은 볼로미터의 소재와 구조 혁신을 통해 이 한계를 돌파했다.

먼저 마이크로파 흡수 소재로 반도체가 아닌 그래핀을 사용해 마이크로파 흡수율을 높였다. 그리고 두 개의 초전도체 사이에 그래핀을 끼워 넣는 '조셉슨 접합 구조'를 도입해 그래핀에서 발생하는 전기 저항 변화를 10피코초(1000억분의 1초)이내로 검출할 수 있게 했다. 

그 결과 마이크로파 검출을 이론적 한계인 1초간 측정 기준 1아토와트(100경분의 1와트) 수준으로 높일 수 있었다. 

이길호 교수는 "이번 연구는 차세대 양자소자를 실제로 구현하기 위한 기반 기술을 구축했다는데 의미가 있다"며 "이 기술을 활용하면 양자컴퓨팅 측정효율을 극대화해 대규모 양자컴퓨터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길호 교수 연구팀의 이번 연구는 2017년 6월 삼성미래육성사업 과제로 선정돼 지원 받고 있다.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삼성전자가 우리나라의 미래를 책임지는 과학 기술 육성을 목표로 2013년부터 1조5000억 원을 출연해 시행하고 있는 연구 지원 공익 사업이다.

저작권자 © KIPOST(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