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15일~7월19일

 

삼성전자가 전 협력사에 일본산(産) 소재와 부품 전 품목에 대해 90일 분량 이상의 재고를 비축해 달라고 요청했다는 소식이 지난주 알려졌다. 재고 확보에 따른 제반 비용은 모두 삼성전자가 부담하겠다는 이례적인 조건도 달았다. 일본의 수출 규제 확대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나온 삼성의 이른바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으로 해석된다. 선제적 대응이긴 하지만 가뜩이나 제조업 경기 침체속에서 소재, 부품의 재고 확보 기간이 그동안 통상 5~14일 수준에서 90일로 크게 늘어나면 또 따른 악영향도 우려된다. 신제품 출시가 늦어지는가 하면 제품 가격 경쟁력 등에도 타격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스마트폰, 가전 등 완제품 사업의 전 협력사에 공문을 보내 일본에서 수입해 삼성전자에 공급하는 전 자재를 90일 이상치 확보해 달라고 요청했다. 재고 확보 시한을 늦어도 다음달 15일 이전까지로 잡았다.

다음 달 15일을 시한으로 잡은 것은 일본 정부가 이때를 기점으로 한국을 백색 국가(화이트 리스트)에서 제외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을 백색 국가에서 뺄지 여부에 대해 일본 정부는 오는 24일까지 의견 수렴 절차를 갖는다. 내각 각의에서 한국을 백색 국가에서 제외하기로 최종 결론을 내면 21일후인 내달 15일 한국은 일본 정부의 백색 국가 명단에서 제외된다. 따라서 현재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 조치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용 3개 품목에 국한됐지만, 만약 백색 국가 명단에서 제외되면 첨단소재·항법장치·센서 등 1112개 전략 물자에 대해 한국은 수출 규제를 받게 된다. 수출 허가 신청과 심사는 3개월 정도 걸리는데 그만큼 시간이 지체돼 생산에 차질을 빚는 등 비용 부담이 커질 수 있다.

삼성전자는 구매팀장 명의의 공문에서 “최근 일본 정부가 추가적으로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제외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며 “한국이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되면 수출 품목별 개별허가 대상이 확대될 가능성이 상당하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삼성전자는 재고 관련 모든 비용을 부담하겠다는 의사도 협력사들에 전달했다. 삼성전자는 공문에서 “필요한 발주물량, 추가비용은 구매 담당자와 사전 협의하고 선적 지연 등이 예상되면 지원하겠다”면서 “재고 확보에 필요한 비용과 향후 해당 물량이 부진 재고로 남으면 삼성전자가 모두 부담토록 하겠다”고 명시했다.

이에 따라 당장 ‘갤럭시노트10’ 출시를 앞두고 삼성디스플레이와 삼성SDI 등 삼성 부품 관계사들부터 서둘러 재고 확보에 나섰다. 이들 부품 계열사가 생산하는 중소형 OLED 패널 소재와 스마트폰용 배터리 분리막 등에는 일본산 소재 비중이 절대적이기 때문이다. 앞서 삼성전자는 오는 8월 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브루클린 바클레이스 센터에서 올 하반기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노트 10을 공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삼성디스플레이가 생산하는 중소형 OLED 패널의 경우 일본의 첫 수출 규제 대상 품목이었던 폴루오린 폴리이미드(PI)와 고순도 불화수소가 핵심 소재다. 삼성SDI로서는 스마트폰용 배터리 분리막이 우려 대상이다. 일본의 아사히카세이와 도레이가 세계 1·2위로 세계 시장을 압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KIPOST(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