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17일~6월21일

리커창 중국 총리
▲리커창 중국 총리

 

미·중 무역갈등이 갈수록 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애플이 중국내 생산기지의 최대 30% 가량을 이전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라고 외신들이 전했다. 예견된 움직임이긴 하나 양국 무역 갈등의 진통이 세계 제조업 생태계에 어디까지 미칠지 주목된다. 이런 우려속에 중국 정부는 다국적 기업들을 상대로 문 단속에 나섰고, 미국내 정보기술(IT) 업계는 미국 정부를 상대로 관세 전쟁 반대를 호소하고 있다. 

최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애플이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등의 생산업체들에게 중국 내 생산시설의 15~30% 정도를 다른 국가로 옮기도록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CNBC도 지난 19일(현지시각) 애플이 중국 생산시설의 최대 30% 까지 동남아 지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중 무역갈등으로 관세가 인상되는 상황에 대한 우려와 높은 인건비 부담 때문이라는 해석이다. 거론되는 생산 이전 대상은 사실상 애플의 모든 제품들이다.

니혼게이자이는 이미 애플이 지난해말부터 특별팀을 꾸려 폭스콘 등 주요 공급 업체와 중국외 지역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방안을 협의해왔다고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애플은 현재 전 세계에서 15조엔(약 160조원) 가량의 부품을 조달하고 있으며 이 중 90%가 넘는 14조엔(약 150조원) 규모를 대만의 3개 주요 위탁생산(EMS) 업체에서 공급받고 있다. 애플 생산라인의 탈중국과 EMS 생산 방식의 변화가 겹쳐 발생할 경우 전 세계 제조업 환경에도 영향을 줄 수있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그러나 애플이 전체 매출 중 20% 가량을 중국에서 올리는 상황에서 탈중국이 불러올 후폭풍도 클 것이란 전망이다. 중국으로서도 애플의 이탈은 우려스럽다. 애플은 주력 제품의 90% 이상을 중국에서 생산하고 1만명 이상을 직접 고용하고 있다. 관련 업체 종사자까지 합치면 수백만 명에 달한다.

상황이 이쯤 되자 중국 리커창 총리가 직접 다국적 기업들 붙잡기에 나섰다. 리 총리는 지난 20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19개 다국적 기업의 최고경영자(CEO)들을 만났다. 무역전쟁의 불똥이 튀지 않을까 우려하는 다국적 기업들이 탈중국에 나서지 않도록 안심을 호소한 것이다. 이날 리 총리는 “우리는 오래 지속해온 개혁·개방 의지를 유지할 것”이라며 “시장 친화적이고 국제화한 기업 환경을 만들기 위해 (다국적 기업들이) 훨씬 더 많은 분야에 접근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할 것”이라고 했다. 이날 참석한 다국적 기업들에는 화학업체 다우, 배송업체 UPS, 제약회사 화이자, 복합 제조업체 하니웰, 자동차업체 폭스바겐, 통신장비업체 노키아, 광산업체 리오틴토 등이 포함됐다.

미국내 산업계도 갈수록 무역전쟁의 여파를 우려하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미 무역대표부(USTR)가 최근 개최한 공청회에서 정보기술(IT) 업계 단체인 미국정보기술산업협의회(ITI) 대표는 “중국 이외에서 대신 제품을 조달하기는 어렵다”며 “또한 미국 기업의 혁신을 저해한다”고 호소했다. IT 벤처기업 단체는 중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을 지적하면서도 “관세는 해결책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한편 애플은 업계 단체와는 별도로 관세 적용 제외를 요구하는 의견서를 USTR에 제출했다.

 

저작권자 © KIPOST(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