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LED의 사용용도는 정말 다양합니다. 사용처에 따른 새로운 생산 구조가 만들어질 것으로 전망합니다.”

26일 서울 여의도 사학연금회관에서 열린 ‘마이크로LED 최근 기술개발동향과 분야별 상용화 전망 및 주요과제 세미나’에서 강연자로 참여한 김영우 한국광기술원 LED융합센터 센터장은 이 같이 말했다.

김영우 센터장은 4차산업혁명을 맞이해 산업통상자원부가 재편한 12대 신산업 목록을 열거했다. 이 목록에는 마이크로발광다이오드(마이크로LED) 연계여부 및 에너지절감 필요 여부가 함께 표기됐다.

마이크로LED는 한 변의 크기가 100㎛(마이크로미터) 이하인 초소형 LED를 뜻한다. 100㎛는 1만분의 1m다. 기존 LED 대비 에너지 효율이 20% 높다. 기존 LED와 달리 웨이퍼로 만들어진 사파이어기판도 떼기 때문에 광학적 효율이 더 높다. 사이즈도 작아 단위면적당 발열량도 적다. 조명 외에 디스플레이, 의료용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업계는 마이크로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에 주목한다. 적녹청색 마이크로LED를 극판에 옮겨 심으면 기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보다 휘도가 높고 수명도 10배 긴 디스플레이를 만들 수 있다. 전력 소모량도 OLED의 4분의 1 수준이다. 저전력을 요구하는 웨어러블 기기, 전기자동차 등에 적합하다.

문제는 마이크로LED를 극판에 옮겨심는 과정이다. 이를 ‘전사’라고 한다. 마이크로LED를 만들기 위해서는 100㎛이하의 초소형 LED를 하나도 빠짐없이 극판에 빠르고 정확히 옮겨심는 기술이 필요하다. 현재 미국과 대만, 프랑스 등 많은 나라에서 전사 기술을 개발 중이다.

김 센터장은 현재 4차산역혁명 산업계획 중 프리미엄 소비재 사업과 차세대 반도체 사업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 마이크로 LED 기술이 필요한 것으로 추정했다. 그는 “지금까지 LED 조명을 통해 에너지를 40% 절감했고 ICT융합을 통한 시스템 조명으로 70% 절감이 예상되고 있다”며 “향후 마이크로 LED를 통한 에너지 절감 비율은 90%가 예상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마이크로LED 사용처가 다양해지는데 따른 새로운 생산구조가 만들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김 센터장은 “사용처에 따른 전사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제품이 세분화된다”며 “대기업이 전사까지 완료하고 중소업체들이 각 사용처에 맞는 제품을 제조하면 고부가가치를 지닌 다품종 소량생산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마이크로LED 산업을 살리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과 업체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대만의 경우 이미 마이크로LED 산업을 빠르게 발전시키는 중이다. 미국 애플 역시 마이크로LED업체 럭스뷰를 인수하며 연구개발에 나선 상황이다.

 

김영우 한국광기술연구원 LED융합센터 센터장이 강연 중이다.

 

김 센터장은 “당장 내년에 마이크로LED 시장이 열리진 않겠지만 향후 LED광고판을 대체하는 등 잠재력을 크게 가진 시장”이라며 “정부에서도 적극적으로 지원해 관심 가지는 기업들과 연구원들이 많았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KIPOST(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