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부터 코발트 거래 가격이 오른 이유는 아프리카 내전, 노동착취 이슈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원광석 수출 금지 분위기도 있어 코발트 가격은 내리지 않을 전망이다.


13일 한국광물자원공사 월간희소금속보고서에 따르면 7월 중국 코발트정광, 코발트금속 수입량은 각각 1만125톤, 144톤을 기록했다. 1년 전 같은 기간 대비 각각 25.3%, 67.2% 감소했다. 코발트는 2차전지 양극활물질 제조에 사용된다. 콩고민주공화국(이하 민주콩고)은 전 세계 코발트 생산량의 절반을 차지하며, 채굴권 대부분은 중국 업체가 보유하고 있다.

중국 코발트 수입량이 크게 줄어든 것은 인권 문제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아프리카 내전 반군이 자금 마련을 위해 점령지 자원을 노동 착취를 통해 채굴한다.

코발트는 현재 분쟁광물 규제(용어설명 참고) 대상이 아니다. 그러나 대형 전자 업체들을 중심으로 문제 소지가 있는 코발트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과정에서 민주콩고산(産) 코발트 수입량이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테슬라, 삼성SDI 등 기타 대형 2차전지 관계 업체는 '책임있는 코발트 이니셔티브(Responsible Cobalt Initiative)'에 참가했다. 참가 업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이드라인에 따라 채굴된 코발트로 제품을 만든다.

그러나 민주콩고산 코발트 사용에 부담을 느낀 업체들은 아예 다른 루트를 통해 코발트를 구매하기 시작했다. 애플은 재사용 코발트를 사용한 배터리만을 채용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수명을 다한 2차전지는 분해해 소재를 재활용한다.

코발트 정광 수입량 감소로 공급이 감소하는데 2차전지 수요는 증가하며 가격이 추가로 오른 것으로 보인다.

 

민주콩고 코발트 이동경로.(이미지=국제엠네스티)

 

설준호 한국광물자원공사 자원정보센터 차장은 “원광, 정광만 판매하는 민주콩고 대신 다른 루트를 통해 제조된 황산코발트 판매량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며 “여기에 민주콩고 내에서 원광석 수출을 금지하는 분위기도 있어 코발트 가격은 한동안 내려가기는 힘들 것”이라고 밝혔다.

 

♦분쟁광물 규제 제도 : 분쟁광물로 지정된 광물 중 불법 채굴된 광물을 구분해 유통을 차단하는 제도. 현재까지 분쟁광물로 지정된 광물은 금⋅주석⋅탄탈륨⋅텅스텐 네 가지다.

저작권자 © KIPOST(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